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전지훈 전문가
맑은소리언어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3년 7월 20일 작성 됨
Q.
아이들이게 게임은 정말 좋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이 게임을 하다보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 같아요. 밥 먹을 때도, 잠을 잘 때도, 게임을 잘 때까지 하는 경우가 많아서 일상 생활 활동에 지장이 생길 정도랍니다. 게임을 하지 못하게 하면 아이의 반항심만 키울 뿐이므로, 적당히 아이와 타협을 하는 게 중요합니다. 시가 약속을 정하고 게임을 하도록 해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20일 작성 됨
Q.
28개월 남아 계속 꿈을 꾸며 울어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잠꼬대의 원인은 대부분 스트레스가 원인입니다. 최근에 아이 일상에 생긴 변화가 심리적인 부담을 주지는 않는지 점검해 보셔야 합니다. 또한 잠꼬대를 줄이기 위해선 잠 자기 전에는 편안한 음악을 들려주거나, 심리적으로 안정감이 들 수 있는 활동을 준비해 주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20일 작성 됨
Q.
발달바우처는 어떻게 받을수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언어 센터마다 다르지만, 바우처가 되는 언어 치료 센터가 있답니다. 해당 주민센터에서 신청이 가능하므로, 연중 신청이 가능하니 해당 주민센터에 문의를 해보기 바랍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20일 작성 됨
Q.
4살된 딸아이 잠을안잘려고 하는데 좋은방법이?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밤에 잠을 재우기 전에 목욕을 시켜 보기 바랍니다. 목욕을 하고 나면 근육이 이완되서 쉽게 잠이 들 것입니다 주변을 어둡게 하고, 항상 같은 잠자리에서 재우는 게 중요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20일 작성 됨
Q.
60일차 옹알이하는데 빠른편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아가들은 옹알리를 몇 개월 동안 하다가 첫 단어를 가장 먼저 '엄마'라는 말을 한답니다. 보통 옹알이 기간은 3~8개월 정도에 하며아가가 옹알이를 할 땐 부모가 알맞은 반응을 해주게 되면 아이의 정서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또한 아가의 의사소통 방법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됩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20일 작성 됨
Q.
혼자 하려고 하지 않고 엄마와 아빠에게 해달라고 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부모님이 보시기게 혼자서 충분히 할 수 있는 활동이면 아이 혼자서 하게 해야 합니다 매번 해주다 보면 아이의 습관이 굳어져서 늘상 부모에게 의지하게 되어 있을 수 밖에 없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20일 작성 됨
Q.
아기가 배고플때는 주로 어떤 소리를 낼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자주 우는 건 아이의 의사 표현이랍니다. 아직 말을 하지 못하는 아가들은 울음으로 자신의 의사 표현을 하기도 하므로, 부모님께서는 아이의 울음에 바로 반응을 보여주셔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20일 작성 됨
Q.
아이가 소변을 참는데 어떻게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낮에 땀이 많이 날 정도로 움직임이 많는 게 아닐까요? 땀이 많이 나면 수분이 날아가므로, 소변량이 줄 수 밖에 없답니다 움직임을 좀 더 줄이시고, 수분 섭취를 더 늘리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20일 작성 됨
Q.
아이가 부모를 때리는 행동은 그의 감정이나 심리적 상태와 어떤 연관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친구들과의 갈등과 학업 스트레스로 인해서 불안과 분노를 느낀다고, 부모를 때린다는 건 이해를 할 수 없네요. 아이의 그릇된 행동에 대해서 부모님의 강한 훈육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20일 작성 됨
Q.
아이들의 폭력성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야구 경기에서의 패배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폭력적인 행동을 보인다면, 강한 훈육을 해서 아이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바로 잡아 주셔야 합니다. 아이의 스트레스로 인해서 폭력성을 보인다고, 이해하려고 하기 보다는 스트레스를 어떻게 풀어 나가야 하는 지 올바른 지도를 해주셔야 할것 같습니다.
691
692
693
694
6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