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전지훈 전문가
맑은소리언어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아이 목이 아프다고 합니다 근육통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시중에 아이들용 파스는 없으며, 되도록 15세 미만의 아이들에겐 파스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있답니다. 아이가 많이 힘들어하면, 반신욕 등을 하고, 마사지를 해 보는 건 어떨까요?
양육·훈육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자기가 정할 틀에서 안 벗어나려는 성향은 어떤걸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새로운 음식 같은 경우엔 많은 아이들이 먹으려고 하지 않는답니다. 먹어본 음식만 먹으려고 하고, 새로운 활동을 힘들어 하는 경우도 있으니, 아이에게 강요를 하기 보다는 이런 게 있다고 경험만 할 수 있게 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입덧이 점점심해지는 7주차 새댁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임산부께서, 입덧이 있으면 음식을 거의 멀리하는 데 식욕이 생길 때 조금식 나눠서 드셔야 합니다.몸에 좋은 음식 보다는 임산부가 먹고 싶어하는 음식을 먹는 게 중요합니다. 또한 과일 주스나 샐러드 등 신맛이 나는 음식을 좋을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19개월 애기 기저귀 벗는 시점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기저귀를 떼는 시기는 아이가 걷는 근육이 발달하는 18개월에서 24월 사이에 배변훈을 시작하면 될 것 같습니다.아이들마다 다르겠지만 대변을 가리는 시기는 29개월 정도, 소변은 32개월 정도에 가능하게 되도록 배변훈을 지도하면 될 것 같습니다
놀이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아이가 온갖 가구와 벽에 낚서를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벽이나, 가구에 낚서를 하는 행동을 놀이로 생각해서 반복적인 활동을 하는 것 같습니다 부모님께서는 아이의 손에 크레파스나, 색연필을 쥐어 줄 땐 스케치북에 그림을 그리는거라고 정확히 알려주셔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심하지는 않지만 습관적인행동(틱) 있는 아들 자연스럽게 고치는 방법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틱의 증상은 7살에서 11살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아이가 자주 눈을 깜빡이거나, 눈을 찡그리고, 머리를 자주 돌리거나, 행동이 자발적이지 않다면 병원에서 상담을 하셔야 합니다. 아이가 불안해 하지 않도록 평소에 아이의 불안한 심리를 없애 주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장마에요 6살 남자아이랑 주말에 무엇을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집에서 요리를 하는 건 어떨가요? 비 오는 날에 밀가루 반죽으로 다양한 모양의 쿠키를 만들어 보는 색다른 경험을 하게 되면 아이이들도 굉장히 좋아하고 행복해 할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네살 아이 목에 낀 가래 뱉어내게 하는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가래가 많으면, 집안에 가습기도 틀어 놓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찬물은 되도록 마시지 않아야 합니다.미지근한 물을 자주 마시게 해야 합니다그 외에도 가래에 좋은 음식으론 도라지, 무, 귤 등이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초등학생 휴대폰 사용시간은 얼마나?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와 핸드폰 사용 시간 약속을 미리 하기 바랍니다. 미리 아이와 함께 어느 정도까지 할 건지, 계획을 세우고, 가족 모두가 동참해서, 서로 지킬 것을 약속하면, 아이도 핸드폰을 너무 가까이 하지 않을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자꾸 엄마 때문이라고 하는 아이에게 어떻게 이야기해줘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핑계를 자주 대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아이가 자꾸 누구 때문이야 라는 말을 자주 쓸 땐 가족들이 그런 말을 자주 사용했는지 점검해 보셔야 합니다. 누구 때문에, 라는 말 보다는 누구 덕분에 좋아졌구나, 등 부정적인 말 보다는 긍정적인 말을 자주 해줘야 합니다.
711
712
713
714
7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