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전지훈 전문가
맑은소리언어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5살 남자아이 10시간 정도 자는데 적당한가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10시간이면 적당한 시간인 것 같습니다 잠을 많이 자는 아이들이 잔병 치레가 없는 것 같습니다 그만큼 면역력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지금처럼 아이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항상 신경을 써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둘째 출산, 경산모는 출산을 더 빨리 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대부분 둘째 아가들은 첫째때와 달리 빨리 출산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100% 정확하지는 않지만, 많은 임산부들이 그렇게 경험을 했다고 하는데아무래도, 첫째는 처음이라 길게 늦겨져서 그런게 아닐까 싶습니다.
놀이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20개월 남자아기 행동 발달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직은 어린 아이이므로, 반복된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던지는 행동은 안된다고 계속해서 말을 해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던지지 않고 예쁘게 놀고 있을 때 칭찬을 해주시면, 아이도 예쁜 행동을 반복해서 하게 될 것입니다
놀이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수족구병에 좋은 음식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이 수족구에 걸리면, 음식을 대부분 먹으려고 하지 않는답니다 목이 아파서 음식 먹기를 힘들어하므로, 쉽게 삼킬 수 있는 음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아이의 통증 완화를 위해서 아이스크림, 찬 음식 등을 먹이는 게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독서를 싫어하는 7세 유치원생을 어떻게 훈육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와 도서관에 가서 함께 책을 읽는 시간을 갖어 보기 바랍니다.아이들은 집에서는 책을 읽지 않아도 도서관에 가서 책을 읽는 것을 특별한 경험으로 생각할 수 있답니다.
놀이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아이가 자꾸 친구들에게 선물을 주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친구들에게 선물을 주면 친구의 기뻐하는 모습에 기분이 좋아서 그런 게 아닐까 싶습니다. 줘도 되는 물건과 주면 안되는 것들에 대해서 부모님이 자주 지도를 해주시면 아이도 이해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개인용변을보고뒷처리하는교육방법?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내년에 학교에 다니게 되면 스스로 해결을 해야 하므로 지금부터 차근 차근 알려주셔야 합니다. 잘 못하더라도 칭찬을 해주면서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격려를 해주시고, 인형을 가지고 연습을 해 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12살 아이인데 밥을 잘 안먹어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12살이면 밥 먹는 게 습관이 굳어져서 아이 스스로 바꾸려는 의지가 없으면, 쉽게 바뀌지 않겠지만, 밥을 잘 먹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아이에게 설득력 있게 이야기를 해줘야 할 것 같습니다 키가 커진다거나, 공부에 집중력도 강해지고, 아프지 않는 등. 먹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려주세요
양육·훈육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1학년 딸아이가 말을 할 때 화를 나는 말투로 말을 하네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말투가 화를 나게 하는 말투여도 절대 화를 내지 마시고, 이렇게 말해 보면 좋겠다 라고 바른 언어 표현법으로 지도를 하시기 바랍니다. 언어도 습관이기 때문에 바르게 말을 하다보면 습관이 굳어질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초등학교1학년 아이 분리수면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분리수면의 시기는 아이들의 나이가 되면 바로 시키기 보다는 아이들의 섣부른 분리수면은 아이가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증폭시키게 할 수 있으며 트라우마를 생길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아이가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는지가 제일 중요합니다.
716
717
718
719
7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