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향후 컴퓨터공학의 전망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요즘 ai가 빠르게 발전하다 보니 컴퓨터공학 전공 학생들이 걱정하는 마음 충분히 이해됩니다. 하지만 오히려 앞으로는 ai를 이해하고 잘 다루는 사람이 더 중요해지는 시대가 되고 있습니다. 단순한 코딩은 ai가 도와줄 수 있지만, 무엇을 만들지 기획하고ㅡ 어떻게 구현할 지 구조를 설계하며, 문제를 파악하고 수정하는 일은 여전히 사람이 해야 합니다 .특히 ai나 데이터 분석, 사이버보안, 자율주행, 로봇 제어, 클라우드 같은 분야는 컴공 전공자가 깊이 있게 공부할수록 유리한 분야입니다. 앞으로는 단순히 코딩만 잘 하는게 아니라, 문제를 정의하고 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 사고력이 더 중요해질것입니다. 그래서 아드님께는 너무 걱정보다는 , 지금 배우는 이론과 기술을 기반으로 자신만의 프로젝트나 실무 경험을 쌓아보라고 응원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컴공의 전망은 여전히 밝고 기술을 이끄는 중심에 있는 학문인건 분명합니다
Q. 압전 효과를 통해서 에너지를 만드는 것은 효율이 얼마나 떨어지나요?? 조금이라도 효율이 있으면 사람의 힘으로만 충전이 될수 있어서 사용화하면 좋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압전 효과를 이용해 에너지를 만드는 건 아이디어는 좋지만 효율이 아주 낮은 편입니다. 일반적으로 압전 소자를 눌러서 얻을 수 있는 전기는 몇 밀리와트 정도밖에 안되는데, 이건 작은 센서나 led 하나 정도만 겨우 켤 수 있는 수준입니다. 사람이 걷거나 뛰어서 발생시키는 힘도 대부분 순간적인 거라서 꾸준한 충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물론 이 기술을 이용해서 전선 없는 버튼을 눌러 무선으로 신호를 보내거나, 사람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용 전원 처럼 소량을 전기가 필요한 곳에는 실용적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즉 사람의 힘으로 완전한 충전을 하긴 어렵지만, 조금씩 전기를 모아 사용하는 저전력 기기에는 쓸 수 있어서 보조용이나 특수한 상황에선 활용될 수 있는 기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