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전찬일 전문가
서울교통공사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노트북 바이러스나 에드웨어를 강력하게 제거할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문의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크롬이 열렸을때 이상한 사이트나 광고창이 자꾸 뜨는것은 보통 에드웨어나 브라우저에 몰래 설치된 프로그램 때문입니다. 알약이나 광고차단 확장 프로그램만으로는 안 없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malwarerbytes 같은 전문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검사해보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리고 크롬 설정 초기화도 같이 해보시는걸 추천드려요. 확장 프로그램 중에 이상한게 있으면 삭제하시고, 제어판에서 최근에 설치된 프로그램도 꼭확인해보세요. 그래도 계속 증상이 있으면 중요한 자료를 백업하시고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시는게 가장 확실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기감전은 전류 30ma 에도 위험한가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전류 30mA도 인체에 매루 위험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전기에 감전될 때 위험한건 전압보다 전류인데요 일반적으로 1mA정도만 돼도 따끔하거나 찌릿한 느낌이 들고 10mA를 넘으면 근육이 수축되면서 스스로 손을 떼기 힘들고 30mA이상이 되면 심장에 영향을 줘서 부정맥이나 심장마비가 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 누전차단기가 30mA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 이유도 그 이상 전류가 인체에 흐르면 생명에 위험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차단기를 내린상태에서 전선에 물이 젖어있으면 전기가 통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차단기를 완전히 내린 상태라면 전기 공급이 끊긴것이기 때문에, 전선에 물이 묻어 있어도 일반적으로 감전되지 않습니다. 전기가 흐르지 않으니 물을 통해서도 전류가 흐를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주의해야될 점이 있습니다. 차단기를 내렸다고 해도 해당 전선이 다른 회로나 차단기와 연결돼 있다면 여전히 전기가 흐를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같은 분전함 안에 다른 차단기에서 연결된 선이 있다면, 예상치 못하게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또한 물이 묻어있는 상태에서 작업중 실수로 전원을 다시 올리거나 누군가 모르게 차단기를 올릴 경우 전기와 접촉된 물 때문에 감전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전기 작업을 할 땐 무조건 차단기를 내리는 것 뿐만 아니라 , 비접촉 전압 테스터기로 실제 전기가 없는지도 꼭 확인하고 건조한 상태에서 작업하는것이 안전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홀로그램이 상업화되어서 기업에서 일반적으로 쓰이게 된다면 출장이 사라질까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실제로 코로나 이후 화상회의가 일상화되면서 출장이 많이 줄었고, 앞으로 홀로그램회의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출장은 더 줄어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단순한 회의나 발표, 보고만을 위한 출장은 시간과 비용, 체력낭비라는 인식이 생기고 있어서 기업 입장에서는 효율을 위해 점점 비대면 쪽으로 움직일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출장이 완전히 사라지진 않을것입니다. 그 이유는 사람과 사람이 직접 만나야만 생기는 신뢰나 분위기 문화적 소통은 기술로 완전히 대체되기 어렵기때문인데요. 특히 영업직처럼 사람 간의 관계 형성이 중요한 직무는 얼굴을 마주하고 나누는 한 끼 식사, 악수 한번, 미묘한 눈치 싸움이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중요한 거래나 고객응대는 여전히 출장이 필요한 순간이 많을것입니다. 결국 홀로그램 기술이 발전하면 일상적이거나 반복적인 출장, 보고용 출장 등은 줄어들고, 정말 전략적인 출장이나 관계형성을 위한 만남만 남게 되는 쪽으로 바뀔 가능성이 큽니다. 이런 변화는 직원들의 피로도는 줄이고, 회사 입장에서도 예산을 효율적으로 쓰는 방향이니 긍정적인 면도 많습니다. 그래서 미래에는 출장이 기본업무가 아니라 선택적이고 중요한 순간에만 쓰는 전략적인 도구로 바뀌는 시대가 올 것 같습니다. 그리고 홀로그램 회의는 그런 변화를 더 빠르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게될것이라 예상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뇌파로 컴퓨터 조작하는 시대가 오게 되면 주변장치 중 하나인 키보드는 아예 없어질까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뇌파로 컴퓨터를 조작하는 기술은 BMI라고 불리며 요즘 실제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생각만으로 커서를 움직이거나, 간단한 명령을 내리는 실험들은 이미 성공한 사례도 많습니다. 하지만 이 기술이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키부드가 완전히 사라지긴 어렵다고 보는 의견이 많습니다. 이유는 몇가지가 있는데요. 뇌파는 지금도 정확도나 속도면에선 아직까진 키보드를 따라가기 힘들다는것과, 뇌는 생각과 의도를 항상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예들어 내가 진짜로 삭제하려고 생각한건지 그냥 상상한 건지를 컴퓨터가 구별하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프라이버시나 오작동의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어떤 사람들은 단순하고 직관적인 도구를 선호합니다. 마우스나 키보드는 손으로 조작하는 느낌 자체가 익숙하고 안정감 있어서 일부러 그런 장치를 계속 쓰는 사람들도 있을것으로 예상합니다. 결론적으로는 뇌파 기술이 발전해도 키보드 같은 장치는 사라지기 보다는 선택지로 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손을 못 쓰는 사람이나 특별한 작업엔 뇌파기술을 쓰고,, 일반적인 사람들은 키보드와 같이 병행하거나 상황에 따라 선택하는 사용 방식이 될 것 같습니다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