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비오는 날에는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지 않는것 같은데 그게 습기가 많아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에숑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맞습니다 비오는날에는 정전기가 잘 안생기는 것은 습기가 많아서 그런것입니다. 정전기는 공기중이 건조할수록 잘 생기는데, 그 이유는 건조한 공기에서는 전기가 잘 안 흘러서 몸에 전하가 쌓이기 쉬운 반면, 습기가 많으면 공기중의 물분자가 전하를 빠르게 방출시키거나 흘려보내줘서 정전기가 쌓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겨울처럼 건조한 날에는 정전기가 잘 생기고, 비오는 날이나 습한 여름에는 잘 안생기는것입니다
Q. 반도체 중에 유기반도체라는 파트는 어떻게 제조되고 어디에 응용되나?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유기반도체는 말씀하신 대로 탄소 기반의 유기물 분자로 이뤄진 반도체인데, 플라스틱처럼 유연하게 만들 수 있고 가볍고 얇게 가공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제조 방식은 실리콘처럼 고온 고압 공정이 아니라, 잉크젯 프린팅, 스핀 코팅, 증착 같은 방법으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박막을 형성해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유연한 기판에도 쉽게 붙일 수 있어서 휘어지는 전자기기나 얇은 필름형 장치에 적합합니다. 응용분야로는 대표적으로 oled 디스플레이, 유기 태양전지, 유연한 센서나 전자종이, 유기 트렌지스터 같은 곳에 쓰입니다. 유기반도체는 고성능 보다는 가볍고 얇고 유연한 전자제품을 만들기 위한 용도에 특화되어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Q. NVlink 와 CXL은 어떤 상이점을 가지며 , 어떻게 컴퓨팅 발전에 기여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NVLink는 엔비디아에서 만든 기술로, 여러 개 GPU가 서로 빠르게 연결돼서 인공지능이나 복잡한 계산을 더 잘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CXL은 인텔 중심으로 만들어진 기술인데, CPU와 메모리, 그래픽카드 같은 부품들이 서로 데이터를 쉽게 주고받고, 메모리를 같이 쓸 수 있게 해줍니다. 둘 다 빠른 컴퓨터를 마들기 위한 기술이지만, NVLink는 GPU 연결에 강하고, CXL은 CPU 중심으로 여러장치를 연결할 때 유용합니다. 어떤게 더 낫다기보단 서로 쓰임새가 달라서 상황에 맞게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