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정광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광채 전문가입니다.

정광채 전문가
역사
역사 이미지
Q.  귀족과 양반의 차이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귀족들은 일반 민중과는 다르게 정치적, 법적으로 특권을 부여받은 사람 또는 그룹입니다. 과거의 귀족들은 왕과 함께 정치를 하는 주요계층이었습니다. 조선시대의 양반은 조선시대의 지배층으로 문관과 무관을 합쳐 양반이라고 불렀습니다. 군역의 의무는 없지만, 높은 관직에 오를수 있는 특권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특별한 반역의 죄를 짓지 않는 이상, 함부로 취급당하지 않았습니다. 고려시대의 귀족이나 조선시대의 양반이나 같은 계열의 계급이라고 생각하며, 단지 고려시대의 귀족이라고 부르던 계층들이 조선시대에는 양반이라는 이름으로 바뀐것으로 생각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처럼 병역의 의무가 있는 나라는 어디어디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국가들중에 병역의 의무가 있는 나라들로는 에리트레아, 스위스, 브라질, 이스라엘, 시리아, 터키, 싱가폴, 그리스가 있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인도에서 소를 신성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에서 소는 매우 특별한 동물로 어머니와 같이 매우 신처럼 신성한 존재로 숭배의 대상으로 여겨집니다. 그래서 먹는것은 상상하지도 못하고, 죽이거나 다치게하는것도 금기시되며, 심지어 맥도날드에서는 소고기가 아닌 닭고기를 이용해서 패티를 만듭니다. 이렇게 소들이 인도에서 숭배의 대상이 되는것은 농사에 필요한 귀중한 노동력을 제공해 주며, 일상적인 식재료인 우유와 우유를 가공한 식품으로 버터, 치즈, 요구르트를 제공해 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소의 오줌은 똥은 부정을 막는다는 의미에서 집벽에 소똥을 바르기도 하고, 소똥 같은경우에는 말려서 훌륭한 땔감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소는 힌두교 신화에서 3대 주신 중에 하나인 시바신이 타고다니는 것으로 나옵니다. 이처럼 소는 힌두교 신화 속에서 간접적으로 성스러운 동물로 인정받기 때문에, 힌두교 신자들은 소를 향해 경배를 드리면서 복을 기원하는 겁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종교란 건 그냥 의지할 곳을 찾아서 믿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학을 믿고 자신의 힘을 믿지만, 사람 역시 두려움을 가진 존재이기 때문에, 미래에대한 불확실한것에 대한 대비책을 가지려는 마음 때문입니다. 누군가는 신이 없다라고 주장하지만, 세상에 있는 만물은 직접적으로 만든이에대해서 말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런 만물들조차 직접 만든 누군가가 있다라는것을 자연을 통해 신적인 존재가 있다라는것을 깨닫기 때문입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고려시대 팔만대장경은 왜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에 만들어진 해인사 팔만대장경은 1237년부터 16년동안에 걸쳐 완성되었는데, 이렇게 오랜 시간에 걸쳐서 팔만대장경을 만든 이유는 종이에 불경을 인쇄하기 위해 만들어진 목판으로서의 책이 아니라, 단지 불교에 대한 믿음때문으로 대장경을 만들어 불교의 힘으로 몽고의 침입을 막으려고 했던것이었습니다.
5165175185195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