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료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료 전문가입니다.
조성진 전문가
성애병원신경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궤양성대장염과 크론병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은 증상이 유사하여 증상만으로는 병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크론병은 궤양성 대장염에 비하여 항문주위에 병변이 잘생기며 체중이 감소하는 예가 많고, 특히 소아 환자에서는 성장 장애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크론병은 궤양성 대장염에 비하여 환자가 느끼는 증상이 더 심한 경우가 많으며, 치료에 대한 반응도 더 나빠서 수술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자고일어나면 허리가 너무아파요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 자고일어 나셨을때만 허리가 아프시다면 잠자리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너무 딱딱하거나 너무 푹신한 잠자리가 원인이 될수 있으며 잠자리 자세도 중요합니다. 평소 운동을 통해 허리근력을 키워주시는것도 허리통증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안과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붓기 빨리 빼는 방법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 눈수술후 1주간은 냉찜질을 해주고 얼굴을 심장보다높게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눈을 피로하지 않게 하면 도움이됩니다.
내과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건강검진 관련 궁금한게있어요!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 건강검진시 당일아침에는 반드시 드셔야 되는 약을 제외하고는 가급적 아무것도 드시지 않고 검진을 받으시는것이 검진 결과가 정확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사람이 바다가재(랍스터)를 먹으면 노화방지에 도움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 바닷가재는 세월을 따라 노화하는 방식과는 다르게, 죽을 때까지 탈피를 거듭하며 성장하므로 수명이 긴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다만나이 바닷가재는 나이를 먹으며 몸집이 커질수록 껍데기도 단단해지고 무거워져서 탈피하는 것이 점점 힘들어지며, 매년10~15% 정도의 바닷가재들이 탈피하다 지쳐 죽습니다. 바닷가재를 먹는다고 노화가 방지되는것은 아닙니다.
비뇨의학과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헤르페스2형과 요도염 치료별개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 요도염은 원인에 따라 치료약제가 다를수 있으므로 비뇨기과 진료를 다시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안과
2023년 5월 8일 작성 됨
Q.
5살 딸 영유아건강검진 시력검사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시각은 미성숙한 상태로 출생한 후 점차 성숙되어져 시력이 6개월 땐 0.1, 1세에 0.2, 2세 때 0.3이 되고 6~7세경이되면 1.0의 시력이 됩니다. 5세에 0.8 이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5월 8일 작성 됨
Q.
정신병동 강제입원(보호입원)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 정신병동 보호입원은 자해나타해 위험이 높거나 정신질환이 심각하여 입원치료의 필요성이 있다는 의사진단이 있으나, 환자가 입원을 거부하는 경우 보호의무자 2인의 신청으로 가능하며. 입원 2주 이내에 다른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추가 소견이 기존 소견과 일치하면 입원을 유지하고 불일치하면 바로 퇴원이 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5월 8일 작성 됨
Q.
원숭이 두창은 감염 경로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 원숭이 두창은 감염된 사람의 혈액, 체액, 피부, 점막 병변과의 접촉, 감염 환자의 체액, 병변이 묻은 의복이나 침구류 등의 접촉으로도 전염되며 일부는 비말로도 전파가 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반드시 동성매로만 전염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5월 8일 작성 됨
Q.
작년에 대장용종 떼고 올해도 대장내시경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용종의 개수가 2개 이하이면서 모두 1cm 미만이고 고이형성 선종이나 융모성 선종이 하나도 없는 경우라면 5년 뒤 대장내시경을 받기를 권고하고 용종의 개수가 3개 이상이거나, 1cm 이상 선종이 있는 경우, 고이형성 선종이나 융모성 선종이 발견된 경우를 고위험군이라고 하며 이 경우에는 3년 뒤에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작년 용종제거한경우 올해는 대장내시경 검사를 안하셔도 됩니다.
56
57
58
59
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