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신경외과
Q. 뇌전증약은 평생복용하나요? 아니면 다른방법있나요?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항뇌전증약 치료 이후 증상이 만족스럽게 조절된다면 항뇌전증약 투여를 중단하는 것을 고려합니다. 일반적으로 소아의 경우에는 보통 2년 동안 뇌전증 발작이 없을 때, 성인의 경우에는 3년 정도 뇌전증 발작이 없을 때 항뇌전증약 투여 중지를 시도하게 됩니다. 하지만 성인의 경우 사회 활동 및 운전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항뇌전증약 투여 중지는 의사와 환자 사이의 충분한 대화와 심사숙고가 전제되어야 합니다. 항뇌전증약을 중지하였을 때 소아는 약 30%, 성인은 약 40~50% 정도에서 뇌전증 발작이 재발하는 것으로 현재 알려져 있습니다. 뇌전증 환자는 우선 약물로 치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약물치료로 뇌전증 발작이 조절되지 않을 때는 뇌전증 수술 등의 비약물요법을 고려하게 됩니다.
Q. 어깨 충돌 증후군은 치료가 어렵나요????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1.비수술적 치료치료의 목표는 통증의 해소, 관절 운동 범위의 회복, 회전근개 기능의 회복이며 일차적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입니다. 충돌 증후군에서는 통증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운동범위가 감소된 경우가 많으므로 스트레칭 운동을 통해 운동범위를 회복하고 관절 주변 연부조직의 유연성을 회복합니다. 진통 소염제 및 근이완제의 복용을 포함한 약물 치료는 통증을 조절하고 스트레칭 운동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보조합니다. 충분한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을 경우, 스테로이드 주사를 통해 증상 조절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견봉하 점액낭 내 스테로이드와 국소마취제를 주입하는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주사 치료는 1-2 개월의 제한적인 효과 및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시술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하도록 하버다.2. 수술적 치료수술적 치료는 제한적으로 시행합니다. 대개의 경우 보존적 치료에 잘 반응하므로 증상이 미미하거나 없다면 수술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존적 치료를 4-6 개월 정도 시행해도 호전이 없고 생활에 많은 지장을 줄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견봉하 골극이나 모양을 다듬어 주는 견봉 성형술, 견봉하 점액낭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Q. 두통이라고는 없었는데 코로나 백신이후 잦은 두통?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백신 부작용은 보통은 접종 후 통증, 조흥, 부어오름,피로감, 두통, 근육통, 오한, 발열, 메스꺼움이 1~2일 정도나타날수있습니다. 만약 증상이 심하거나 불편하면 바로 기다리지 마시고 병원에 가셔서 진료 받으시길 바랍니다.
Q. 백신맞고난뒤 계속 심장쪽에 통증이 느껴지는데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백신 부작용은 보통은 접종 후 통증, 조흥, 부어오름,피로감, 두통, 근육통, 오한, 발열, 메스꺼움이 1~2일 정도나타날수있습니다. 가슴통등이나 호흡기 증상이 심하거나 불편하면 바로 기다리지 마시고 병원에 가셔서 진료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