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조혜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조혜은 전문가입니다.

조혜은 전문가
듀폰 코리아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요?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조혜은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의 끝 많은 학자와 전문가들이 이 문에 매달려 있습니다. 하지만 무한하다고 쉽게 단정할 수 없습니다. 이 부분은 사실 과학적인 증명이라기 보단 이론적인 답변밖에 할 수가 없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무한이 존재할 수 없음을 증명하였는데 그 증명은 ' 무한이라 해도 결국 유한한 것들의 집합일 뿐이다. 그렇게 때문에 무한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무한하지 않은 우주의 끝은 어디일지, 다른 전문가들의 답변이 궁금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고인물이 썩는 이유와 흐르는 물이 썩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혜은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 썩는 이유는 고여있는 물에 있는 미생물이 생존을 위해 물속에 있는 유기물을 분해하게 되는데 이때 황화 수소나 메탄같은 물질들을 만들어 내는데 이것들이 냄새가 나고 물을 탁하게 만들어 오염시킬때 물이 썪는다고 합니다.이러한 이유를 반대로 새각해 보면 물이 고여있지 않게 흐르게 되면 물속에 유기물도 넘쳐나고 산소도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물이 썩지 않는 것 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호르몬이 적으면 재기능을 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조혜은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호르몬 별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최소 수치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성장이 느린 아이들에게 성장 호르몬을 주사하는 것에서 처럼 채내에 호르몬 수치가 부족할 경우 그 효과가 떨어지는 경우를 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성장호르몬의 경우 혈액중 농도가 5ng/ml 이하로 확인되면 성장호르몬 결핍증입니다. 에스트로겐 역시나 마찬가지 입니다만 그 정확한 수치는 성장호르몬과 다르게 늘 변한다고 하여 검사를 통해 정확히 기준 할 수 없다고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수력 발전소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혜은 과학전문가입니다.수력발전은 위치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해서 발전시키는게 그 원리 입니다. 그 기원은 물레방아 입니다. 흘러내리는 물을 회전하는 바퀴에 떨어뜨림으로써 바퀴가 돌면서 곡식을 찧는 것이 수력발전의 시작 입니다. 높은 곳의 물아 아래로 떨어지는 힘을 이용해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것 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사람이 물 위에 뜰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혜은 과학전문가입니다.특별한 원리가 있는건 아니고 튜브와 마찬가지로 인체 내부의 부력때문입니다. 사해의 경우 염분의 농도가 높아 일반 바다나 강보다 부력이 커서 쉽게 뜰수 있지만 사해가 아니더라도 패닉에 빠지지 않고 일반적으로 숨을 참을 수 있다면 부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물에 뜰 수 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각 재료별로 끓는 점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조혜은 과학전문가입니다.기름의 기화점은 기름별로 틀립니다. 옥수수유 : 섭씨 270도해바라기유 : 250도카놀라유 : 250도면실유(목화씨기름) : 230도포도씨유 : 220도콩기름(대두유) : 210도올리브유 : 180도입니다. 유증기의 경우 수증기와 마찬가지로 기름이 기화해 기체가 된걸 유증기 하는데 유증기 입자의 크기가 1~10µm인 기름방울이 기화하여 안개형태로 공기 중에 분포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액체가 기체가 되는것은 열에너지의 흡수를 통해 일어나게 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역노화가 몇세기 지나야 되나요?
안녕하세요. 조혜은 과학전문가입니다.일단 세포 역노화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를 Cell rejuvenation 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세포 역노화는 세포를 리프로그래밍(Reprogramming)해 세포의 건강을 유지시키고, 세포의 재생 능력을 복원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세포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고 궁극적으로는 건강수명 연장과 노년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관련 연구결과를 찾아보면 뉴스기사에 나오는데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바브라함 연구소는 50대 성인의 피부세포를 부분 리프로그래밍해 20대 초반의 피부세포 수준으로 돌리는 데 성공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지난해 4월 8일 국제 학술지 이라이프(eLife)에 ‘성숙 단계 일시적 리프로그래밍에 의한 인간 세포의 다중 오믹 회춘(Multi-omic rejuvenation of human cells by maturation phase transient reprogramming)’이란 제목으로 게재됐다.이 외에도 캘리코 라이프 사이언스(Calico Life Science LLC) 연구팀은 부분 리프로그래밍 기술을 이용해 노화된 세포에서 젊은 유전자 발현에 성공했다.국내에선 한국과학기술원(KAIST)와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연구팀이 2020년 노화된 피부세포를 역노화 시키는 핵심 인자를 발견했다. 공동 연구팀은 이 인자를 바탕으로 역노화의 초기 원천기술과 검증 모델을 개발했다."http://m.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281278> 입니다.첨부된 자료에 있는 역노화는 도마뱀 꼬리가 재생되는 능력을 사람에게 적용한다는 것인데 그건 너무 앞서갔다고 생각이 됩니다. 하지만 세포단일물질에 대한 역노화는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기때문에 불가능한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그물망을 사이에 두고 손을 움직였을때 이상한 느낌이 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혜은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이 좀 광범위 하긴 한데 제가 떠오르는 내용은 신경절단 환자에게 적용하는 거울치료가 생각납니다. 미국에서 전쟁에서 부상을 입어 팔다리를 절단한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한 내용이 있습니다. 절단 환자의 경우 실제 잘린 팔다리에 대해서 통증을 느끼는 환상통이라는게 존재하는데 이러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거울을 활용하여 온전한 팔을 한쪽에 두고 거울을 이용해 실제로 반대쪽에 비춰줌으로써 실제 있는것 처럼 느끼도록 한다음 착각을 이용해 실제로 팔이 존재하는것 처럼 느끼도록 해 해당 통증을 없애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물망도 마찬가지로 생각해볼수 있는데 실제로 망을 비비게 되면 손바닥 양쪽에 촉감이 느껴지게 되는데 뇌는 이게 동일한 감각이 양쪽에 느껴지므로 왼쪽, 오른쪽 촉감이 서로 섞이에되면서 뇌가 촉감을 착각하기 때문에 한손으로 만지는 촉감보다 다르게, 이상하게 느끼는게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해상 풍력발전의 효율은 어느정도 수준인가요??
안녕하세요. 조혜은 과학전문가입니다.해상 풍력발전의 이론적 효율은 베츠의 법칙이라고 해서 59.26%인데 실제 풍력발전기의 효율은 45~50 % 정도 입니다. 2017년 미국 에너지정보국 자료에 따르면 에너지별 발전 효율은 원자력이 92%로 가장 높았고, 이어, 가스 55%, 석탄 54%, 풍력 37%, 태양광 22% 순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흔히말하는 태양광에너지는 날이좋은날에만 흡수되나요?
안녕하세요. 조혜은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닙니다. 태양광 에너지는 흐린날에 일조량이 맑은날보다 떨어질뿐 발전은 합니다. 실제로 대지에 도달하는 빛은 암전상태처럼 빛이 아예 없지만 않고 시야에 보일정도만 되어도 빛이 도달하는것이기 때문에 발전은 일어납니다. 하지만 맑은날과 흐린날의 발전량 차이는 최대 10배까지 날수 있다고 하니 그 차이는 상당한 편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