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에 멀리있는곳 사진은 어떻게 찍나요??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래 내용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요약하자면, 별빛에서 나오는 적외선 에너지의 파장을 읽어서 사진화 시키는 겁니다.제임스웹엔 근적외선에서 중적외선에 이르는 광범위한 범위의 적외선 관측 장비 4개가 탑재돼 있다. 이 장비들은 초당 28메가비트의 속도로 하루에 57.2GB 이상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보낼 수 있다. 하루 2GB를 처리하는 허블의 약 30배다.나사는 캘리포니아와 마드리드, 캔버라 3곳에 있는 안테나를 통해 관측 데이터를 받는다. 데이터가 지구까지 도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5초. 처음 받는 건 흑백 이미지가 포함된 이진법 파일이다.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의 제임스웹 이미지처리팀을 이끌고 있는 조지프 드파스콸(Joseph DePasquale)은 미국 언론 인터뷰에서 “처음 받는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아무런 물체도 없는 검은 화면처럼 보인다”고 말한다.그러나 온통 어둡게만 보이는 각 화소에는 미세한 음영의 차이가 있다. 밝기에 따라 0(검정색)에서 100(흰색)까지 값이 주어진다. 그 사이에 있는 값이 무려 6만5천가지나 된다. 이 음영 속에 상세한 데이터들이 숨어 있다. 어두울수록 많은 정보가 들어 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중해 금방에 국가들은 왜 그렇게 겨울에도 온화 하고 좋은 날씨를 띄는지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결국 위도차이입니다.위도가 높으면 태양과의 거리도 멀어지고, 태양햇빛을 만나는 시간도 적어져서 춥게 됩니다.반면, 적도부근은 태양과의 거리도 가깝고, 태양히 하늘에 오랜시간 떠있고,태양 햇볓이 각도가 수직에 가까워서 햇볓의 세기가 위도가 높은 국가보다 더 강하게 됩니다.그래서 더 덥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