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Q. 안전보건교육규정의 안전보건교육 강사 기준이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차무영 산업안전산업기사입니다.현재 알려진 강사 기준으로는 아래와 같은 조건 중 1개만 충족하면 되는데요.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사업장의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를 총괄하는 자로서, 안전보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관리감독자: 현장에서 근로자를 직접 지휘·감독하는 자로서, 해당 작업에 대한 안전보건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있어야 합니다.안전보건교육기관 및 직무교육기관의 강사와 같은 등급 이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하는 안전보건교육 강사 양성 과정을 이수한 사람을 의미합니다.사업주, 법인의 대표자, 대표이사 및 안전보건 관련 이사: 사업장의 안전보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는 자로서, 안전보건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야 합니다.「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조제2호에 따른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를 총괄·관리하는 전담 조직에 소속된 사람으로서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 경력이 있는 사람: 해당 조직에서 안전보건 관련 업무를 수행하며, 관련 경험이 풍부해야 합니다.사업장 내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에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서 사업주가 강사로서 적정하다고 인정하는 사람: 해당 작업에 대한 경험이 풍부하고, 사업주가 강사로서의 역량을 인정하는 경우 강사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산업안전산업기사
Q. 전기공사 현장에서 위험 요소 제거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차무영 산업안전산업기사입니다.현장에서 전기에 관련한 위험 요소 예방을 위한 다음을 참고 해보세요.절연 장비 착용: 작업 시에는 반드시 절연 장갑, 절연 신발, 안전모 등을 착용하여 감전 위험을 최소화해야 합니다.누전 차단기 설치: 누전이 발생할 경우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감전 사고를 예방합니다습기 제거: 습한 환경은 감전 위험을 높이므로, 작업 전후 습기를 제거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활선 작업 금지: 가능한 한 활선 작업을 피하고, 부득이하게 활선 작업을 할 경우에는 안전 절차를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