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전문가입니다.
채지훈 전문가
Kwangchonkim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예금·적금
2023년 2월 22일 작성 됨
Q.
예금 보호 제도는 왜 20년 넘게 5천만밖에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예금보험공사에 가입된 금융회사가 파산시 예금보험공사에서 대신 개인당 최고금액한도인 5000만원을 지급합니다.보호금액을 늘리면 시중금융회사들의 예치금납입금액이 크게늘어 부담이고 실제파산을한다면 뱅크런사태로 비단 하나의 금융회사만 문제생기기보다는 사회적인 문제로 이어져 국가신뢰도하락으로 원화가치하락과 엄청난 물가상승을 가져와서 실제 국가에서는 예금자인 국민은행 고액예금자에게 부담을 전가할수밖에 없는일입니다.
경제동향
2023년 2월 22일 작성 됨
Q.
국채를 발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빚을 내어 국채발행하여 예산충당을하여 복지확대를 한다던지 국책사업이나 재정확대 정책을 펴면 경기를 부양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예금·적금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미국 금리에 많은 영향을 받는데 중국에도 영향을 받나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중국이 미국에 모든면에서 거세게 도전을 하고있는데 가장치열한 부분이 경제분야입니다.미국국채보유비중이 많은 중국은 관계가 좋을때는 국채보유를 늘리고 투자유치가 규제가 덜하였지만 요즘은 위안화가치상승을 위해 달러매도 국유은행을 동원해 위안화매수를 하는것 같습니다.코로나19상황의 펜더믹에서 점점벗어나고 있는지금 위안해 가치를 끌어올려 투자유치를하고 대외경제강국의 위상을 전파하려하는것 같습니다.우리나라도 수출결제비중이 달러가 많고 중국에서 위안화결제를 요구하기 때문에 위안화로 거래하고 위안화가치변화에 민감할수밖에 없습니다만 대체적으로 달러인상에 초점 맞춰움직이기때문에 아직은 그리 많은 영향은 받지않습니다.그러나 추후 두나라의 주도싸움이 점점 치열해지고 지정학적으로도 가까운한국이 어떤선택이 자국의 경제운명과 나라의 미래발전에 유리한지 잘 선택하고 힘을길러 대응해야겠습니다
대출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신용카드 만들때 주의해야 하는게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너무 많은 발급을 받으면 관리하기도 어렵고 연회비 지출만 커지고 무분별한소비도 부축일수있습니다.신용도에도 좋지않은 영향을 끼칠수있으니 혜택이 가장좋은 카드2~3장정도가 적당하지않을까 생각됩니다.
예금·적금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주택청약통장 유지 또는 해지 어느것이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부동산경기침체로 미분양이 속출하여 청약통장유지가 불필요하지않을까하는 요즘시대를 살고있습니다.이런기조가 계속된다면 부동산거래양도세가 덜 걷혀 나라예산을 운용하기도 한계가 있어 몇주전에 정부에서 부동산투자활성화를 위해 일부대책을 내어놓은것 같습니다.청약은 유지해도 나쁠게없으니 가지고 가는게 좋지않겠나 봅니다
216
217
218
219
2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