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하남허리튼튼신경외과 원장입니다. 반갑습니다.

하남허리튼튼신경외과 원장입니다. 반갑습니다.

김승현 전문가
하남허리튼튼신경외과
소아청소년과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Q.  아이가 넘어져 머리를 바닥에 크게 부딪혔어요 ct촬영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증상이 있으면 찍어보시는 것을 권유하며 너무 걱정되고 마음이 쓰인다고 하시면 찍어보셔도 됩니다.하지만 지연성 출혈이 7일이내에 나타날 수 있으니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코로나 백신이 정말 효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코로나걸릴 때 위험이랑, 코로나 백신 후 부작용을 비교하였을 때 맞으시는 것이 낫습니다너무 걱정하지마십시오, 백신을 맞아도 괜찮습니다.증상이 있을 때 약을 드시기 바랍니다.너무 불편하시면 병원에 가보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백신접종에 따른 이상반응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해열제 복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해 드리니, 안전한 접종을 위해 국민과 의료진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1.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제가 다른 해열진통제보다 권장됩니다.2.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을 못 드실 경우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아스피린 등 기타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3. 백신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드시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4. 약을 드셔도 39도 이상 열이 나거나 발열, 두통, 전신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백신+개인위생+사회적 거리두기 해주십시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소아청소년과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Q.  백신 접종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너무 걱정하지마십시오, 백신을 맞아도 괜찮습니다.증상이 있을 때 약을 드시기 바랍니다.너무 불편하시면 병원에 가보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백신접종에 따른 이상반응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해열제 복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해 드리니, 안전한 접종을 위해 국민과 의료진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1.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제가 다른 해열진통제보다 권장됩니다.2.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을 못 드실 경우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아스피린 등 기타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3. 백신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드시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4. 약을 드셔도 39도 이상 열이 나거나 발열, 두통, 전신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백신+개인위생+사회적 거리두기 해주십시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코로나 백신 미접종자 부작용 질문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너무 걱정하지마십시오, 백신을 맞아도 괜찮습니다.증상이 있을 때 약을 드시기 바랍니다.너무 불편하시면 병원에 가보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백신접종에 따른 이상반응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해열제 복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해 드리니, 안전한 접종을 위해 국민과 의료진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1.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제가 다른 해열진통제보다 권장됩니다.2.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을 못 드실 경우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아스피린 등 기타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3. 백신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드시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4. 약을 드셔도 39도 이상 열이 나거나 발열, 두통, 전신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백신+개인위생+사회적 거리두기 해주십시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부스터샷을 왜 맞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최근 미국에서 얀센 백신 접종자 62만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얀센 백신의 코로나19 예방 효과는 올해 3월 88%에서 8월 3%로 5개월 만에 급격히 줄어들었는데, 같은 기간 모더나, 화이자 백신이 각각 92%에서 64%, 91%에서 50%로 예방 효과가 떨어진 결과를 볼 수 있었습니다.질병청에서 기본 접종을 완료한 사람들에게 부스터샷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대상은 얀센 기본접종을 맞은지 2개월이 지난 사람이고, 면역저하자 2개월이 지나고 우선 실시한다고 했습니다. 부스터샷 추가접종군은 추가 접종을 받지 않은 대상군에 비해 감염 예방효과가 11.3배 높고 중증화 예방효과가 19.5배 높았고 델타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화이자 백신 추가 접종군이 18-55세는 평균 중화능 (억제력)이 5배, 65-85세는 11배 높았다고 합니다. 또한 추가접종의 이상반응 발생은 기본접종 시와 유사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아직 대상은 고령층, 의료기관 종사자 등 고위험군부터 시행한다고 합니다. 또한 부스터샷으로는 mRNA 백신인 화이자, 모더나를 접종하게 되고 1,2 차를 다른 백신을 접종한 경우에도 같이 적용되어 교차접종이 허용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족저근막염인지? 어느 병원 과를 가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정형외과 가보시기 바랍니다족저근막염 가능성 높습니다.① 계단 오르기, 등산, 조깅, 에어로빅② 비만으로 인해 발에 가해진 과도한 부하(중년층)③ 좋지 않은 구두④ 여성의 경우 하이힐⑤ 점프하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지면서 생긴 외상⑥ 갑자기 운동을 많이 한 경우⑦ 당뇨, 관절염환자의 90% 이상이 보존적 치료로 회복되며, 수술적 치료는 거의 필요 없습니다. 족저 근막이 밤사이에 수축되어 있다가 아침에 급하게 스트레칭이 되면서 통증이 발생합니다. 족저 근막염 보조기를 사용해 밤사이에 족저 근막을 스트레칭된 상태로 유지시켜 놓으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보조기를 착용한 지 일주일 정도가 지나면 증상이 줄어듭니다. 2~3개월은 꾸준히 착용하여야 완치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아주 심한 급성기에는 족저 근막의 테이핑 요법과 실리콘으로 제작된 발뒤꿈치 컵을 병용하면 효과가 있습니다. 꾸준히 족저 근막과 아킬레스건을 스트레칭을 하거나, 마사지, 대조욕 등의 물리 치료를 병행하면 효과가 높아집니다.  적절한 신발을 선택하는 것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너무 꽉 끼는 신발을 피해야 합니다. 뒷굽이 너무 낮거나 바닥이 딱딱한 신발은 족저 근막염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넉넉한 크기의 약간 높은 굽의 바닥이 부드러운 신발을 신도록 합니다. 발이 오목발인지 평발인지에 따라 족부 보조기가 추가로 처방될 수도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주사 요법은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환자에게만 사용되어야 합니다. 발의 뒤꿈치 지방층의 위축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서 주사해야 합니다. 반복적으로 주사할 시 근막이 손상될 수도 있습니다. 6개월 이상 심한 통증이 계속되고 장애가 있으면 수술 요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상의 치료와 더불어 체중을 줄이고 장시간 서지 않는 것 등과 같이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동선수는 달리는 거리를 줄이거나, 자전거 타기 또는 수영장 풀 내에서 뛰기 등으로 훈련 방법을 변경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발목 봉숭아 뼈 부위가 붓고 쑤시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통증이 있고 붓기가 있다면 발목의 인대손상의 가능성이 있습니다.RICE- rest- immobilization- compression- elevation에 따라 치료해야 합니다.발목에 부목을 하고 쉬어야 하며 얼음 찜질및 하지를 높게 거상해야 급성기에 치료를 제대로 하였다고할 수 있습니다. 일단은 어는정도 붓기가 가라앉아야만 통증이 호전됩니다. 많이 불편하다면 병원에서 반기브스를 하시고 최대한 발을 쓰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먹는 약도 복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뒤목이 뻣뻣하고 어지렵고 악간의 통증이 있는데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척추 뇌저 동맥 증후군은 급작스러운 자세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랜 시간 앉았거나 누워있다 일어날 때는 천천히 일어나도록 합니다. 하체 쪽으로 혈액이 몰리는 것을 막기 위해 규칙적인 운동을 하도록 합니다.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금연합니다. 고혈압이나 당뇨와 같은 만성 질환을 적절히 관리하여야 합니다. 혈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항혈소판제를 복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동맥 경화로 인한 척추 기저 동맥 협착이 있다면, 뇌혈관 성형술을 시행해 혈관을 넓혀야 할 수 있습니다. 척추 뇌저 동맥의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해 뇌졸중이나 뇌 기능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는 극히 희박합니다. 임상적 증상이 호전되면 대부분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기저동맥 순환 부전이 지속되면, 기저 동맥이 혈액 공급을 담당하고 있는 뇌 조직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호흡 부전, 심장마비, 운동 장애, 하지 혈전증, 시력 장애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개한테 물렸는데 손가락 마디가 불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동물에게 물리던 사람에게 물리던 물린 상처는 일반 상처와 전혀 다르다. 특히 당뇨 등 내과적 지병이 있거나 고령층에서는 순식간에 패혈증으로 진행되어 이렇게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상처 감염이 있더라도 패혈증으로 진행되지 않게 초기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동물이나 사람에게 물린 상처가 다른 상처와 다른 이유는 감염되는 세균의 차이가 가장 중요한 이유다.기본적으로 칼에 베인 것과 찔린 것의 차이는 입구의 크기와 깊이의 차이이다. 베인 상처는 피가 많이 나므로 피에 의해 들어온 세균이 씻겨나가지만 찔린 상처는 세균이 배출되기 전에 입구가 막혀버린다. 그래서 감염도 더 잘 되는 것이다.개나 사람에게 물린 상처도 칼에 찔린 상처와 동일하게 입구는 작고 깊이는 깊다. 그런데 칼과 달리 사람과 개의 이빨에는 혐기성 세균이라고 공기를 싫어하는 세균이 있다. 한마디로 공기가 차단되면 더 잘 자라는 균이다. 상처 입구가 막히거나 상처를 봉합한 경우 혐기성 세균은 더 잘 자라게 된다. 여러 개의 혐기성 세균이 동시에 자라므로 일반적인 호기성 세균에 듣는 세파계 항생제로는 치료도 잘 안 된다. 겉에 아무리 소독을 잘해도 속에 들어있는 세균을 죽일 수 없다.일반인들이 잘못 알고 있는 상식 몇 가지             1) 광견병 예방주사   이 주사는 기본적으로  동물이 맞는 것이다.  따라서 개나 고양이에게 물릴 경우 반드시 예방 접종 여부를 확인해야 된다. 그런데 광견병 예방 주사의 유효기간은 1년이므로 1년마다 동물이 맞아야 된다. 즉 2년 전에 광견병 예방 주사를 맞은 개는 믿을 수 없다. 집에서 키우는 반려 동물은 반드시 광견병 예방주사를 맞혀야 된다.  키우는 사람을 안전을 위해서라도 유기견이나 야생동물은 당연히 안 맞았다고 생각하고 치료를 하는 게 맞다. 동물의 침에 있는 바이러스가  사람의 상처를 통해 감염되므로   물리는 경우(교상)  발병 확률이 높지만  물리지 않아도  동물 발톱에 긁힌 상처등을 통해서도 감염 가능성은 있다(이 상처가 동물의 침에 노출된다는 또 하나의 조건이 성립되면)  직업상 동물에게 물릴 확률이 높은  사람은 사람도 광견병 예방 주사를 맞는게 권장된다. 맞고 싶다고 해서 맞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정확한 것은  정부의 희귀-필수 의약품 센터에 문의)http://www.kodc.or.kr/home/drug_info/centerList.do 일단  야생동물등에게 물려서 광견병 위험성이 매우 높은 경우  병원 진단서를 받아서 환자 본인이  희귀-필수 의학품 센터에서  직접 구입해와서 병원에서 맞야야 된다. 현재 국내에서 구할수 있는 약품은 베로랍이라는 수입 약제임. 하나에 현재 65000원 (의보 적용후)으로  센터 홈페이지에 나옴. 예방적 주사는  1,7,21(28)일 3회 접종을 해야되고 이미 물린 경우는  0, 3,7,14, 28일 총 5회가 필요함. * 베로랍 정보 https://www.kodc.or.kr/home/drug_info/read.do?pagerOffset=0&maxPageItems=5&maxIndexPages=10&searchKey=&searchValue=&menuId=58&condition.supply=CENTER&kdcode=664000141&drugCd=A001581  보다 심각한 경우는  캄랍(주)라는  면역글로부린을  1회  주사 맞아야 된다.  이는 백신을 통해 항체 생성을 기다릴 수 없는 심각한 상황에서  예방적으로 투약하는 것임.  (아래 기술할 파상풍에서  같은 방법으로 면역글로불린을 투약하는 치료가 있다) 사람에게 광견병이 발생하면 치료 방법도 없고 거의 100%사망한다고 되어있다. 이 병에 걸리면 물을 무서워하게 된다고 해서 공수병이라고도 부른다.  잠복기간도  1개월에서 길게는 6년까지로도  보고된바 있어서  안심할 수 없다.  2) 파상풍 예방주사                   파상풍균만 사망에 이르는 세균 감염이 아니지만 일단 발생하면 매우 치명적이고 치료가 어려우므로 당연히 동물에게 물린 깊은 상처는 파상풍에 대한 예방을 해야 된다. 일반적으로 병원 응급실에서 맞는 주사는 Hyper-Tet(테타불린 등 상품명은 여러 가지임)는 파상풍 면역 글로불린으로 예방 접종이라기보다는 이미 감염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는 환자에게 항체를 가지고 있는지 불확실할 때 투약하는 것으로 항체를 직접적으로 주사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예방접종은 약한 항원을 주사해서 우리 몸에서 항체를 만드는 식으로 진행되는데 이미 상처가 생겼고 파상풍균이 들어왔다면 우리 몸이 항체를 만들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 주사를 맞았다고 안심할 수는 없지만 실제 감염 되더라도 증세가 완화 될 수도 있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맞아야 된다. 따라서 최근 5년- 10년 이내에 파상풍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을 경우에는 (대부분은 어릴 적에 맞고는 이후로 안 맞은 경우가 많다. 원칙적으로는 11-12세에 추가 접종하고 이후 10년마다 맞도록 되어있다) 상처가 깊거나 클 경우에는 맞는 게 좋다.( 모든 상처에 맞을 필요는 없다. 모든 상처에 이 주사를 주면 의료보험에서 삭감당하기 때문에 의사도 맘대로 할 수 없다. 문제는 상처가 경미해도 생길 수 있는데 정말로 파상풍이 생기면 왜 주사를 안했는지 책임을 의사에게 물을 거다. 주사를 주면 삭감하고 안줘서 문제가 생기면 책임지라고 하고... 정말 억울하다)이 주사는 상처가 나면 가능한 빨리 맞는 게 좋다. 늦게 맞을수록 효과는 떨어진다.파상풍 잠복기(1일-수개월)가 길기 때문에 늦게라도 맞는 게 나을 수도 있지만...자주 다치는 사람이라면 앞서 말한 대로 10년 주기로 Td 백신을 맞는 것이 상처가 날 때마다 Hyper-Tet를 맞는 것보다 더 낫다.(hyper-tet는 3주정도 까지만 방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음)                     3) 물린상처는 씻어야 한다   물론 생리 식염수를 씻으면 좋지만 안 되면 수돗물로 씻어도 된다. 비누가 광견병등의 예방에 도움이 되므로 아프더라도 비누로 씻는 게 좋다.5분정도 충분히.... 상처 소독에는 가급적 알코올이나 과산화수소수보다는 포비돈이 가장 좋다. 피가 몸 안에 들어온 세균을 배출하는 기능을 하니까 피는 충분히 흘려내야 된다. 4) 병원에 빨리 가야된다        아무리 겉에 소독을 해도 안에 이미 들어온 세균은 죽일 수 없으니까... 반드시 적절한 항생제를 투약 받아야 된다. 상처가 심하다면 먹는 약보다는 입원해서 정맥주사로 투약 받는 것이 안전하다.다만 상처는 바로 봉합하면 안 된다.앞서 말한 대로 일반적인 세균과 달리 혐기성 세균 감염이기 때문이다.봉합할 정도의 큰 상처라면 항생제를 투약후 3-4일이상 지켜보고 감염 징후가 없다면 그때 봉합해야 된다.5) 일반적인 항생제인 세파계열보다는  크라목신과 같은 아목시실린계 복합제나  유나신(박타신)과 같은 암피실린계 복합제가  첫 번째 추천 항생제임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내과
내과 이미지
Q.  기핌할때마다 아랫배가 아픈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복부에 통증이 있으신 것 같은데 위치에 따라 원인이 다릅니다.대부분 큰일이 아닐 가능성이 있으나 병원에 가셔서 진료를 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2662672682692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