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병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전문가입니다.
최병관 전문가
Awal Medical Centre, Sarina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1월 26일 작성 됨
Q.
야즈 복용 중 날짜 미루는 방법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일반적으로 경구피임약의 경우 주기를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휴약 기간 없이 새 포장을 순서대로 복용히고 두 번째 포장을 다 복용할 때까지 원하는 기간만큼 연장할 수 있습니다. 연장 기간 동안 파탄 출혈 또는 점상출혈을 경험할 수 있으며 다음 7일간의 휴약 기간 후 이 약의 복용을 정상적으로 다시 시작하면 되겠습니다. 야즈의 경우 해당 복약지도문을 참조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11월 26일 작성 됨
Q.
입술이 붓고 곪았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현재 부종과 진물이 상처 부위에 난다면 2차 세균감염을 감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2차 세균감염일 경우에는 항생제 복용이 꼭 필요하므로 내원하시어 진료를 보시기 바랍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2년 11월 26일 작성 됨
Q.
이석증 치료 후 갑자기 어지러운것은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이석증은 내이 전정기관에서 어떠한 형태로든 이석과 같은 작은 돌같은 물질이 제자리에서 떨어져 나와 평형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수주내에 저절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석치환술을 하면 증상이 빨리 호전될 수도 있습니다.
정형외과
2022년 11월 26일 작성 됨
Q.
엑스레이 초음파 문제 없는데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근골격계 질환은 기본적으로 이학적 검사 및 영상의학 검사를 통해 구조물을 정확히 확인하여야 하므로 증상이 지속된다면 초음파보다는 MRI를 촬영하는 것을 고려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내과
2022년 11월 26일 작성 됨
Q.
위 내시경 기구는 어디까지 들어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위 내시경은 십이지장 하부까지만 관찰이 가능하며 그 이하 소장부위는 접근이 어려워 꼭 필요한 경우 캡슐 내시경으로 촬영을 할 수는 있으나 영상 질적인 면에서는 활용도가 매우 떨어집니다.
안과
2022년 11월 26일 작성 됨
Q.
큼직한 반짝이가 눈에 들어갔어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눈에 이물질, 특히 화학제품이 들어간 경우에는 이물질이 저절로 제거되지 않고 염증반응을 일으키거나 구조물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내원하시어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11월 26일 작성 됨
Q.
귀 속이랑 상태가 안좋아 문의해 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현재 증상은 외이도염 가능성이 있습니다. 외이도염은 외이도에 자극이나 습한 환경으로 인해 해당부위에 세균이나 진균감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이비인후과 진료를 통해 진단 및 처방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내원하시어 진료를 보시기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1월 26일 작성 됨
Q.
키가 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개인차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여자의 경우 최대키는 대부분 사춘기로부터 2년 정도 지난 시점, 남자의 경우 만 16세까지 자라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12-15세에 최대 키에 도달하게 됩니다.근력 운동 자체는 올바른 방법, 무게(프리웨이트부터 서서히 중량을 늘려나가는 방법), 감독하 시행시에는 키성장과 관련이 없다는 것이 연구 결과 밝혀졌습니다. 하지만 근력운동과 관련하여 키성장이 멈추는 경우가 존재하는데 보통 적절하지 못한 무리한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인해 성장판에 손상을 주거나 골절로 인해 성장판에 문제가 발생할 때 입니다.
정형외과
2022년 11월 26일 작성 됨
Q.
대상포진은 신체 한 군데서만 발병하나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대상포진은 varicella-zoster virus(VZV)가 소아기에 수두들 일으킨 후에 신경절에 잠복해 있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재발하는 질환입니다.대상포진은 동시 다발성으로 발현할 수도 있으나 그런 경우에는 주로 면역저하자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2년 11월 26일 작성 됨
Q.
오른쪽 옆구리, 아랫배, 허리 통증 원인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해당 증상은 비특이적인 증상이므로 현재 정보로만 원인을 추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동작 변화시 증상이 완화 혹은 악화되는 소견은 근골격계 질환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필요시 정형외과 혹은 신경외과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446
447
448
449
4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