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정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정수 전문가입니다.
최정수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약·영양제
약 복용
2021년 12월 9일 작성 됨
Q.
역류성식도염 약복용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처방전에 아침 식전에 복용이라하면 식전에 복용하시면 됩니다. 보통 역류성식도염 약은 프로톤펌프억제제 성분의 약을 사용하는데 이 약은 위산 분비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미 식사를 하고 난 뒤에는 위산이 분비되어있어서 약의 효과가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식전에 복용하시는게 원칙입니다.
약 복용
2021년 12월 9일 작성 됨
Q.
염색약 알레르기 예방약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알레르기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알레르기 유발원을 피하는 방법입니다. 항히스타민제를 미리 복용해서 증상을 낮추는 방법이 있을 수는 있지만 이상반응정도에 따라서 큰 효과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알레르기를 유발시키는 성분을 찾아보시고 그 성분이 없는 약들을 찾아보셔야 합니다.
영양제
2021년 12월 9일 작성 됨
Q.
비타민 c 메가도스에 대해서 질문.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비타민c 메가도스로 복용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비타민 씨 같은 경우 수용성비타민으로 과량을 복용해도 소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큰 문제가 생길 가능성은 크지 않습니다. 하지만 빈속에 오래 드시거나 하시면 속쓰림 부작용이 생길 수 있고 산성을 띄기 때문에 치아에 손상이나 치아변색의 위험성도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약 복용
2021년 12월 9일 작성 됨
Q.
제가 하루에 보충제를 많이 먹는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건강기능식품들의 경우 많은 양을 먹는다고 해서 큰 문제가 생기는 경우는 드뭅니다. 걱정을 하실 정도는 아니나 여러약을 복용시에 부작용이 생기면 어떤약이 원인인지 확인하기 힘든 경우가 있어서 본인에 잘 맞는 약들이라면 꾸준히 복용하시고 되도록 3~4개 정도 약으로 줄여보시는 방법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지금 몸 상태에 잘 맞는다고 생각하시면 꾸준히 복용하세요
이비인후과
2021년 12월 9일 작성 됨
Q.
10월4일 2차화이자 접종이후에 열이?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간혹 접종 후 열이 올랐다 내렸다 반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가 본 다른 환자분도 질문자님과 비슷하게 증상이 있었는데 원인은 정확히 알수가 없습니다. 백신 접종 후 생긴 이상반응으로만 이해하지 사실 기전을 밝히기가 어렵습니다. 다행인거는 시간이 지나면 결국엔 증상이 사라진다는 것 입니다. 타이레놀을 복용하면서 증상조절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비인후과
2021년 12월 9일 작성 됨
Q.
화이자 1차 접종이후 2주뒤 2차 접종해도 문제 없나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2회 접종하는 백신의 경우 어느정도 기간이 필요한대, 이보다 일찍 맞거나 너무 늦게 맞는 경우 항체수준을 최대로 끌어올리는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이자의 경우 3주 간격으로 맞으시는게 맞고 최대 6주안에는 접종을 마치셔야 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2월 9일 작성 됨
Q.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필수로 맞아야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부스터샷이 강제성을 띄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2차 백신 접종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항체수준이 감소해 이를 보완할 방법이 현재 부스터샷뿐이 없기 때문에 되도록 접종을 권장하는 것 입니다. 방역패스로 인해서 다중시설이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2021년 12월 9일 작성 됨
Q.
코로나19도 독감감기처럼 계절질병으로 인식될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남아공 의료진의 인터뷰를 보면 오미크론에 감염된 환자들이 산소치료만으로 대부분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했다고 하는데요, 아직 치명률이 얼마나 강한지 파악은 되지 않았으나 바이러스의 특성상 전파력은 강해지고 치명률은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아직은 독감정도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2월 9일 작성 됨
Q.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되면 델타 변이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현재 변이 바이러스 중에 우세종은 델타변이 입니다. 아직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지는 않았는데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면 델타변이의 수는 줄어들 가능성이 큽니다. 세력싸움에서 지는 것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알파변이에서 델타변이로 우세종이 옮겨간 것 처럼 오미크론 변이가 다시 우세종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2월 9일 작성 됨
Q.
오미크론이 유행하면 델타는 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현재 변이 바이러스 중에 우세종은 델타변이 입니다. 아직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지는 않았는데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면 델타변이의 수는 줄어들 가능성이 큽니다. 세력싸움에서 지는 것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델타의 치명률이 높다면 숙주가 사망할 가능성이 크고 그 시간동안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이 대부분의 숙주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것입니다.
96
97
98
99
1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