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코로나 주사 맞을때 왼팔과 오른팔 주사 차이점이 있는지 그리고 엉덩이 주사는 언제 놓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왼팔, 오른팔 상관은 없습니다. 어깨에 맞는 것은 어깨 근육에 주사 접종 하는 것이 편리하고 생각보다 다른 신체부위에 접종 했을 때보다 통증을 덜 느끼는 부위로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백신은 몸속에 있는 수백개의 림프샘과 가까운 일부 근육에 접종해도 되긴 해서 어깨나 허벅지에 맞기도 하는데 이는 모두 여러 림프샘 근처에 위치해 있어, 이 부위에 접종했을 때 효과적으로 항체를 형성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예전에 엉덩이에 접종을 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엉덩이에는 지방층이 근육, 림프에 접근하기 힘들정도로 많아서 항체형성에 비효율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었고 신경 부상 위험도 있어서 엉덩이 쪽은 잘 하지 않습니다.
Q. 코로나백신에관해서 몇가지궁금한게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최근에 질병청에서 기본 접종을 완료한 사람들에게 부스터샷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대상은 기본접종을 맞은지 6개월이 지난 사람이고 고위험군의 경우 6개월이 지나지 않아도 우선 실시한다고 했습니다. 부스터샷 추가접종군은 추가 접종을 받지 않은 대상군에 비해 감염 예방효과가 11.3배 높고 중증화 예방효과가 19.5배 높았고 델타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화이자 백신 추가 접종군이 18-55세는 평균 중화능 (억제력)이 5배, 65-85세는 11배 높았다고 합니다. 또한 추가접종의 이상반응 발생은 기본접종 시와 유사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아직 대상은 고령층, 의료기관 종사자 등 고위험군부터 시행한다고 합니다. 또한 부스터샷으로는 mRNA 백신인 화이자, 모더나를 접종하게 되고 1,2 차를 다른 백신을 접종한 경우에도 같이 적용되어 교차접종이 허용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2. 가능합니다. 백신을 맞았다고 해서 100% 항체가 생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항체가 있다고 해도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은 막을수도 있지만 막지 못할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백신 접종을 하고 감염이 된다면 중증도가 많이 낮아지기 때문에 접종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감염으로 생기는 증상이 심하지 않게 됩니다. 이런 장점 때문에 백신을 계속 권장하고 있는 것 입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서 백신 접종을 하셨다고 해도 마스크를 쓰는 것이 지금은 가장 안전한 대처방법입니다. 현재 델타변이 바이러스의 돌파감염이 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접종을 하셨다고 해도 감염이 될 수 있어 마스크를 쓰시고 생활하셔야 좀 더 확실한 감염 예방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