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시대 성균관은 입학시험이 따로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기재생은 대체로 사학생도로서 소정의 시험에 합격하여 입학한 승보기재(升補寄齋)와 부조(父祖)의 공덕으로 입학한 문음기재(門蔭寄齋) 등이 있었습니다. 성균관은 관리후보생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이었으므로 입학하여 유생이 될 수 있는 자격은 대체로 양반사대부 자제들에게 국한되어 있었습니다.그러나 양반사대부 자제라 하더라도 일정한 자격을 갖추고 있어야 하였는데, ≪경국대전≫에 의하면 ① 생원과 진사, ② 사학생도 중 15세 이상으로 ≪소학≫ 및 사서(四書)와 오경 중 1경에 통한 자, ③ 공신과 3품 이상 관리의 적자(嫡子)로서 ≪소학≫에 통한 자, ④ 문과 및 생원·진사시의 초시인 한성시(漢城試)와 향시(鄕試)에 합격한 자 ⑤ 관리 중 입학을 원하는 자에게만 입학자격이 주어졌습니다.
Q. 당나라 선명력을 도입한 신라왕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 『선명력』이 언제 도입되었는지 분명한 기록은 없지만 『증보문헌비고』「상위고」 등에서는 고려 태조 때에 당의 선명력을 신라로부터 이어받아 사용하였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나당 교류 관계상 당나라가 선명력을 반포하던 822년(신라 헌덕왕 14) 무렵에는 곧바로 수용하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고려는 918년 태조 건국 이래 1281년(충렬왕 7) 정월 『수시력』을 하사받기 전까지 계속 사용하였으며, 정인지(鄭麟趾)가 편찬한 『고려사(高麗史)』 「역지(曆志)」의 서문을 보면, 『수시력』에서 사용한 제곱근 계산법인 개방법(開方法)이 전해지지 않아 일식과 월식의 이론을 서술한 교식(交食) 1절만은 여전히 『선명력』의 옛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였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로 보면 『선명력』의 일월식 교회술은 한반도에서 신라 말 이래로 무려 약 570년간 사용한 정도가 됩니다.
Q. 남극조약은 언제 체결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남극지역에 관한 사항을 규율하는 기본적인 조약입니다. 1959년 12월 1일에 워싱턴에서 서명, 1961년 6월 23일 발효되었습니다. 한국은 1986년 11 월 28일 발효. 하기의 원가입국 12개국을 포함하여 당사국은 42개국입니다. 남극대륙은 그 심각한 자연조건 때문에 오랜 기간 인류에 의한 접근과 실효적 지배가 곤란한 장소였지만 과학기술의 발달로 20세기에 들어 각국이 다투어 그 영유를 주장하게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영국, 프랑스, 뉴질랜드, 노르웨이, 호주, 칠레 및 아르헨티나의 7 개국은 섹터 이론, 지리적 접근성, 발견, 탐검(探檢), 포경 등을 근거로 동 대륙에 대한 영토권을 주장해 온 것에 대해 미국과 구소련은 이들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고 자국의 영토권도 유보하고 있다. 이들 국가들의 영토권을 둘러싼 대립 이 제2차 세계대전 후 특히 현저했기 때문에 1957~1958년의 국제지구관측년(IGY)에서 과학적 조사의 국제협력을 계기로 국제분쟁을 미연에 방지하고 그 평화적 해결을 위한 기운이 일었습니다. 그 결과 1959년에 미국의 제창에 의해 상기 9개국 외에 남아프리카}, 벨기에 및 일본(대일(對日) 평화조약 2조(e)에서 청구권을 포기하였다)이 초청되어 개최된 국제회의에서 본 조약이 채택되었습니다. 그렇다고 영토분쟁이 최종적으로 해결된 것은 아닙니다.
Q. 유럽 미국에서 나타났던 다다이즘은 어떤 건가요?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다다(dada)라는 어원의 유래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독일어로 '취미' 라는 뜻인데 선구자였던 후고 발이 칼로 독일어 사전을 찔러서 명칭을 무작위로 선택했다는 설이 있고, 프랑스어로 어린이들이 타고 노는 목마를 가리키는 말이나, 작가들의 태도 그 자체라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습니다.다만 다다이즘의 어원은 '까까', '빠빠', '쬬쬬' 처럼 애들이나 쓰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말이 정설로 꼽힌다. 서양 아이들이 다다다 하고 옹알이를 하는 소리의 그것입니다.한마디로 유아적인, 유치한 단어라는 이야기. 이런 단어로 불리게 된 건, 다다이즘이 ‘무의미함의 의미’를 표현하는 시조였기 때문입니다.전반적으로 아무 의미가 없는 'dada'라는 단어를 통해 카모폴라쥬를 하거나 무의식이나 허무주의를 나타냈습니다. 쉽게 말해 기존 예술을 그냥, 생각 없이, 뒤엎고, 가지고 노는 게 '다다이스트'들의 목적이었다고 합니다.
Q. 수확체감의 법칙이라는 말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축복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즉 어떤 생산물을 생산하는 데 필요로 하는 자본·노동·토지 등의 생산요소 가운데 자본과 토지의 투입량을 일정하게 하고 노동의 투입량을 증가시키면, 생산물 전체로서는 증대되지만 추가투입량 1단위에 대한 생산물의 한계적 증가분은 차차 감소 경향을 나타낸다는 원칙입니다.이 법칙은 D.리카도 등 고전학파 경제학자에 의하여 한정된 토지 위에서의 식량생산에 적용되어 왔는데, 후에 토지·노동·자본 등 각 생산요소에까지 적용된다는 '한계생산력 체감의 법칙'으로서 일반화되었습니다. 이 법칙과 혼동되기 쉬운 것으로 규모에 관한 수확체감의 법칙이 있는데, 이것은 복수의 생산요소 모두를 같은 배율(倍率)로 증가시켜 나가도 생산물은 그 배율 이하로만 증가하는 경우를 말하며, 수확체감의 법칙 또는 한계생산력 체감의 법칙과는 다른 개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