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플렉스 경제라는 것은 무슨 의미로 쓰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먼저 플렉스 경제는 MZ세대의 과시적 소비와 개인의 만족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용어입니다. 여기서 플렉스는 영어로 Flex를 의미 하며 이는 소셜미디어에서 부를 과시하거나 소비를 자랑하는 행위를 의미하죠. ^^실제로 MZ세대의 특징 중 하나가 소비 패턴 중에 자신의 가치를 드러내는 데 투자하거나 소비하는데 적극적이라는 데 있습니다. 쉽게 예를 들어, 명품 구매, 취미·여행에 대한 지출, 그리고 경험 중심의 소비가 이에 해당 된다고 할 수있겠죠.이것을 너무 부정적으로 보지 않는다면 이런 소비가 이는 단순한 과시가 아니라, 자기 만족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작용 할 수 있다고 볼 수 있고 경제적인 관점에서는 경제 전반에서 고급화된 상품·서비스의 수요 증가를 이끌어 내는 효과도 있다고 생각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Q. OTT 플랫폼에 대한 투자는 어떻게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저도 개인적으로 OTT 플랫폼은 스마트폰, 태블릿 활용 증가와 개인화된 콘텐츠 소비 트렌드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하고 있는 분야 입니다. 특히 구독 기반 모델과 독점 콘텐츠가 주요 수익 모델이기에 안정적인 수익이 나온다는 점에서 큰 투자 매력 포인트 인 것 같습니다.다만, 최근에 많은 OTT플랫폼 업체들이 생겨나고 있어 경쟁 심화와 콘텐츠 제작 비용 증가는 수익성에 부담이 될 수 있고 실제로 넷플릭스의 경우 최근에 이 부분에서 수익성에 타격을 받아 주가가 하락 한 적이 있습니다.개인적으로 넷플릭스, 디즈니 현재 전통적인 글로벌 강자뿐 아니라, 로컬 콘텐츠 강화에 집중하는 플랫폼도 주목해서 살펴보는 것도 좋다고 생각 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Q. 최근에 외국인들이 가장 많이 매수하고있는 우리나라 주식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그나마 외국인 투자자들이 우리나라 주식 중에서 가장 많이 매입 하고 있는 주식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기아, HD현대중공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과 같은 반도체, 자동차, 조선 그리고 방산과 같은 한국의 주요 산업을 이루는 곳에 해당 하는 것 입니다. 우리나라도 나스닥의 테슬라, MS, 엔비디아와 같은 향 후 미래 산업과 크게 연관된 빅테크 기업이 나타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