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햄버거가격이 물가에 비해 많이 오른편인가요?
빅맥지수는 맥도날드의 대표적인 상품인 빅맥의 가격을 이용하여 국가 간의 물가 수준과 환율을 비교하는 지표입니다.빅맥지수의 아이디어는 빅맥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상품이며, 거의 모든 국가에서 판매되는 가격이 일정하다고 가정하였습니다. 따라서 빅맥의 가격 차이는 주로 환율의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하에 시작되었습니다.이러한 이론에 따르면, 빅맥지수가 높은 국가는 해당 국가의 통화가 고평가되었거나, 비교적 고가의 빅맥을 판매하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 그 반대로 빅맥지수가 낮은 국가는 해당 국가의 통화가 저평가되었거나, 빅맥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빅맥지수는 경제학에서 재미있는 측면에서 사용되며, 단순히 환율이나 물가 수준을 비교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이는 빅맥이라는 특정 상품이 국가 간의 비교를 용이하게 해주는 대표적인 상품이기 때문입니다.
Q. '제로섬 게임'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경제학 용어로서, 한 쪽의 이득이 다른 쪽의 손해로 이어지는 게임이나 상황을 가리킵니다. 이 용어는 전체적으로 총 이익이 고정되어 있어서 한 플레이어의 이익은 다른 플레이어의 손실과 정확히 상쇄됩니다.간단한 예시로 설명하면, 흔히 보드 게임인 체스가 제로섬 게임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체스에서 어떤 한 플레이어가 상대방의 말을 잡으면, 그 말의 가치는 상대방의 손실로 이어지고 이는 상대방의 이익으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체스에서의 이익과 손실은 항상 상쇄되며, 총합은 항상 일정합니다.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주식 시장에서의 거래나 포커 게임도 제로섬 게임의 예시로 볼 수 있습니다. 주식 시장에서의 한 투자자가 주식을 사면 그 가격이 오르고, 다른 투자자는 이에 따라 그 주식을 팔게 되어 손실을 입게 됩니다. 포커 게임에서도 한 플레이어가 패를 이기면 다른 플레이어들이 돈을 잃게 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여 전체적으로 총 이익이 고정되는 제로섬 게임의 특성이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