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경제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이철민 전문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4년 12월 17일 작성 됨
Q.
박근혜 전대통령의 탄핵시기에 우리나라의 주식 등 경제사정은 어떠했는지 궁금하네요.
2016년 10월에 탄핵이 되면서 급락했었습니다. 그런데 탄핵인용 직후에는 2100을 넘기면서 급반등했씁니다그뒤에 상반기에는 2400을 넘기며 역대최고가를 찍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17일 작성 됨
Q.
가상화폐 규제가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런 규제가 시장의 성숙도를 높일지 아니면 투자를 위축시킬지 궁금합니다.
아직까지는 가상화폐 규제가 가상 화폐 시장을 안정화 시키는 측면이 크다고 봅니다. 가장 중심이 되는 미국에서도 점점 허용되는 범위가 넓어지고 있고 우리나라도 그렇습니다
경제동향
2024년 12월 17일 작성 됨
Q.
현재 환율이 정상화되지 않고 있는데 가장 큰 원인은 무엇때문인가요?
단기적으로 보면 우리나라 국내 정치 문제가 환율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조금 더 길게 보면 내년도 트럼프 정부가 들어섰을 때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불안정성 그리고 우리나라 산업의 실적 악화 예상 등이 큰 원인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17일 작성 됨
Q.
주식 시장에 보면 모멘텀이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는데 정확한 의미는 무엇인가요
주식시장에서 모멘텀이라고 하면 상승세 트렌드 흐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분위기를 타고 상승하고 있는 주식에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경제동향
2024년 12월 17일 작성 됨
Q.
베네수엘라는 왜 경제가 무너져버렸나요?
베네수엘라가 석유가 엄청 많은 나라라서 예전에는 괜찮았는데 한마디로 하면 정치권 문제로 이렇게 됐다고 봅니다각종 산업시설을 국유화하고 정부에서 반시장적인 정책을 많이 있으면서 외국 기업들이 나가고 베네수엘라 자체적으로는 석유를 시추할 수도 없고 등등 여러 가지. 문제로 경제가 악화되고 있습니다
경제동향
2024년 12월 17일 작성 됨
Q.
ESG 경영이 기업의 필수 조건이 되면서 주식 시장에서 ESG 기업에 투자하는 트렌드가 강해지고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그 트렌드가 수익성에 아직은 오히려 안좋다라는 인식과 결과가 나오기도 해서 최근에는 그 트렌드에 반하는 분위기까지도 나오고있습니다. 이부분은 산업별, 업체별로 각각 달라서 적용을 고민해봐야 할것같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수익성이 안좋아도 장기적으로 보면 좋은경우도 있구요
경제동향
2024년 12월 17일 작성 됨
Q.
환율이 오를때 국내 경기가 나빠지는건 왜 그런가요?
일단 환율이 오르면 수입물가가 안좋아져서 전체적인 물가상승을 유발하고, 개인의 실질소득을 감소시키는 영향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환율이 올라도 수출효과가 적은데 그이유는 주요 수출기업이 해외에 직접 진출해있는 경우가 많기때문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17일 작성 됨
Q.
빗썸 예치금이용료는 어떤 것인지요?
올해 7월인가 정부에서 법으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관련 법을 만들면서 여러가지 제도가 신설되었는데그중 하나가 거래소에 예치된 예치금에 대해서 어느정도 이자를 지급하라는 것도 포함되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17일 작성 됨
Q.
비트코인을 국가 정식화폐로 사용하는 국가들은 어디가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엘살바도르와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이엇나 이정도 국가가 공식 화폐로 지정했다고 들었습니다.다만 그 나라들 안에서도 실제 화폐처럼 통용되지는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17일 작성 됨
Q.
국민연금의 국내 주식에 대한 투자 확대가 문제가 되는 이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저는 질문자 님의 의견과 비슷합니다. 국민연금은 철저히 국민들의 노후와 연결되어있는 연금 수익률을 1순위로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장단기 수익률을 고려해서 해야하는 것이지국내 정치상황 등과 연계할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116
117
118
119
1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