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경제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이철민 전문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오늘같은 불장에도 삼성 주식이 오르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멀까요?
어제밤에도 미국에서 우리나라 반도체 관련 안좋은 소식이 추가되었습니다.우리나라 삼성전자와 하이닉스가 주로 만드는 hbm반도체 중국수출을 사실상 금지되었습니다. 그래서 타격이 있을것으로 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대한민국의 주식 중 가장 배당소득과 주가가 안정적이어서 투자하기 적합한 기업은 어디일까요?
저는 지금 타이밍까지 같이 본다면 삼성전자 추천합니다. 지금 삼성전자는 상당히 낮은 가격대라 분기 배당에 배당금도 적지않고, 자사주 매입에, 향후 시세차익까지 기대한다고 봅니다.그외에는 전통적으로 맥쿼리인프라 많이들 추천되죠
자산관리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외채를 갖고 있는 기업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나요?
국제금융시장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자금조달이 가능하기도 하고해외 매출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합니다. 외채 보유가 많은 산업군은 자동차, 전자, 기계등 글로벌경쟁을 하는 기업들과 건설업(해외진출), 에너지, 자원개발 등입니다.
경제동향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환율이 상승해도 공급비용이 늘어나지 않는 경우도 있나요?
환율상승이 일시적이고 기업이 이를 단기적으로 버텨낼수있는 경우 생산비용에 큰 영향을 미치지않을수도 있습니다. 또한 환율이 올랐지만 수입원자재 가격자체가 하락하거나, 경쟁관계 등으로 인해 환율 상승폭을 공급자 측에서 다 떠앉을수도 있습니다. 또는 환헷지를 하는 기업은 영향이 없을수있습니다.
경제동향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총수요가 늘어나서 물가가 상승하는 것이 맞나요?
선후관계를 설명해 보자면 일반적으로 경제가 성장하고 총수요가 증가하면 물가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소비자 구매력이 감소해서 총수요가 줄어듭니다.
326
327
328
329
3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