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경제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이철민 전문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4년 11월 27일 작성 됨
Q.
미국의 중립금리는 얼마정도로 볼 수 있나요?
미국의 중립금리는 경제의 자연스러운 성장률을 반영하는 금리입니다. 통화정책의 중립적인 상태를 말하는 것인데 최근 자료를 보면미국 중립금리는 대략 4.5%정도로 상당히 높게 나옵니다.
경제동향
2024년 11월 27일 작성 됨
Q.
세금을 증세하는 것보다 지금 세금을 어디에다 쓰고 있는 것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만 무엇을 한다고 하면서 자꾸 해외에다가 보내고 알고
이부분은 정치적 견해나 경제를 어떻게 볼것이냐에 따라 생각이 다를수있다고 봅니다.당연히 누구 친척 페이퍼컴퍼니 이런것은 누구나 동의합니다만자원외교는 장기적으로 보면 자원, 에너지 독립을 위해서 어느정도 필요하고해외 원조도 결국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진출과 어느정도 연결되어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1월 27일 작성 됨
Q.
가상자산관련세금 공제금액은 얼마인것인가요?
현재 해외주식 투자와 동일하게 적용되는 방식입니다. 수익의 250만원까지는 면제, 그 초과분은 22%의 세금이 부과되는 것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1월 27일 작성 됨
Q.
뉴스에 비트코인 동전처럼 나오는거요
실제 비트코인 로고도 그렇게 생기긴 했습니다. 다만 그와 유사하게 닮게 만든 이미지가 많이 돌아다니는데그런 이미지를 쓰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경제정책
2024년 11월 27일 작성 됨
Q.
한국의 소비자피해가 극성인 이유는?
우리나라 뉴스라서 우리나라에 대해 더 호들갑스럽게 뉴스화 하는 것도 있겠지만우리나라도 미국처럼 징벌적 손해보상제도를 도입하면 어느정도 소비자 피해를 줄일수있다고 봅니다. 우리나라는 소비자가 피해를 보더라도 사실 큰 손해배상을 받기어려우니 그냥 넘어가는 경우도 많고 기업에 영향도 적은데징벌적 손해배상을 실시한다면 기업들이 스스로 조심하게 됩니다.
486
487
488
489
4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