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경제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이철민 전문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5년 1월 9일 작성 됨
Q.
미국은 어떻게 비트코인 관련 ETF가 생긴건가요?
미국은 우리나라처럼 법적인 규제가 없기 때문입니다. 물론 심사를 받아야 하지만 그 심사를 작년 초에 통과했기 때문에 상장이 되는 것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1월 9일 작성 됨
Q.
미국주식 매도 시 250만원부터 22프로 세금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아닙니다. 말씀하신대로면 올해 250만원 수익이 발생하신 겁니다. 그러면 250만원까지는 세금이 없기 때문에 별도의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경제정책
2025년 1월 8일 작성 됨
Q.
미국도 자국 보호주의를 중심으로 자국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어떤 외교정책을 모색하고 있을까요?
아직은 우리나라에서 정치적 혼란과 미국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이라 본격적인 전략을 펼치고 있지는 않지만 전문가들의 의견으로는 줄건 내주고 받을건 받자라는 마인드와, 개별적인 협상을 통해서 최대한 유리하게 이끌자는 전략이 낫다고 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1월 8일 작성 됨
Q.
어제부터 비트코인이 갑자기 폭락하고 있습니다 어떤 것이 원인인가요?
아마 주시시장과 함께 움직이는 것 같습니다. 어제 ism지수가 높게 나왔는데 그러면 물가상승가능성과 금리 하락속도를 늦추는 효과가 있기때문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1월 8일 작성 됨
Q.
주식과 가상화폐, 부를 쌓기 위한 투자 전략은 어떻게 달라야 할까요?
저는 가상자산은 잃어도 될정도의 금액만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전통 투자스타일을 선호해서 그런지 몰라도 주식은 레버리지 위험한 주식을 하지만 코인은 신뢰하지못하겠습니다. 그래서 주식에 95% 코인에는 5%미만으로 투자합니다.
경제정책
2025년 1월 8일 작성 됨
Q.
여론조사의 차이가 시행 업체마다 왜이리 차이가 큰지?
여론조사가 객관적이고 공정해보이지만실제 현장에서 가장 편파적이고, 장난질을 많이 치는 곳이 여론조사입니다. 어느 쪽에서 돈을주고 여론조사를 하냐에 따라서 결과가 완전 다르게 나오기도 합니다. 질문 뉘앙스나, 순서, 질문방식, 조사수단, 시간 등에 따라서 결과가 다릅니다.
경제정책
2025년 1월 8일 작성 됨
Q.
공산당은 당이 1개로 알고 있는데 민주적인 토론은 자체가 전혀 없을까요?
형식적으로 다른 당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사실상 의미없는 들러리죠다만 민주적인 토론이 없냐고 하면 애매합니다만일반 국민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정책을 집행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어느정도는 반영되는 셈입니다.
예금·적금
2025년 1월 8일 작성 됨
Q.
cma 통장은 안전한가요? 파킹통장 대신 써도 될까요?
제가 알기로는 cma 통장은 일반 예금 적금처럼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지는 않는다고 알고있습니다.다만 현실적으로 cma 입금액을 손실보는 사례는 사실상 없다고 봐도 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1월 8일 작성 됨
Q.
코인이 급락 급등하는건 선물떄문인가요 ??
선물의 영향도 분명 어느정도 있습니다만선물의 영향이 크다기 보다는 실제 발생한 이슈가 더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봅니다. 예를들어 코인 정책이나, 전체적인 유동성, 금리 관련 변화 등입니다.
경제용어
2025년 1월 8일 작성 됨
Q.
주식투장에 무한매수기법이라고 있다는걸로 아는데 그게 개념이 정확히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하고있는 투자법이네요보통 레버리지 etf로 하는데40조각 정도로 나눠서 매일 삽니다. 그러다가 10% 상승하면 팝니다. 대략 이런개념입니다.네이버 카페가 있습니다.
51
52
53
54
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