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경제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이철민 전문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정책
2024년 11월 7일 작성 됨
Q.
트럼프의 당선과 미국 은행들의 관계는 무엇인가요?
미국 대통령으로 트럼프가 당선되었는데 수해를 받는 산업군으로 금융산업도 뽑힙니다. 그 이유는 트럼프는 금융 분야에 있어서 규제를 많이 완화할 것이라고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경제동향
2024년 11월 7일 작성 됨
Q.
트럼프 대통령이당선됨으로써어떤변화가있을까요?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됨으로 인해서 전세계적으로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트럼프가 미국의 보편 관세를 도입한다고 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교역량이 상당히 줄어들고 전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동향
2024년 11월 7일 작성 됨
Q.
트럼프와 달러강세 연관성이 궁금해요 !!!.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면 감세정책을 펴고 재정적자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국채를 발행해서 메꿔야 하는데 국채를 많이 발행하면 결국 국채 이자율이 올라가고 시중 이자율도 올라가고 이자율이 높아지면 미국으로 자본이 흘러 들어갑니다. 그러면 미국 달러를 수요가 많아지고 미국 화폐 가치가 올라가는 것입니다
경제동향
2024년 11월 7일 작성 됨
Q.
트럼프가 당선이 되어서 모든 나라에게 관세를 10% 이상 인상을 한다고 했는데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
실제로 그게 가능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실제로 모든 나라에 관세를 10 프로씩 부과한다라고 하면 우리나라와 같이 미국에 수출을 많이 하고 흑자를 많이 내고 있으면서 수출 중심 국가들은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경제정책
2024년 11월 7일 작성 됨
Q.
일론머스크가 맡기로한 정부효율화위원회는 어떤역할을 하나요,
트럼프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언급을 했었는데 정부효율화위원회를 만들겠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연방정부 차원에서 전체 재무와 성과를 점검하고 감시하는 기관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담당을 할 것 같습니다
경제동향
2024년 11월 7일 작성 됨
Q.
트럼프 당선이후의 한국경제의 전망이 궁금합니다.
일단 미국 대통령이 트럼프가 되었는데 트럼프 당선으로 예상되는 경제 방향들이 있습니다. 일단 금리가 올라가고 달러화 가치가 상승하고 환율이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많이 올리기로 했는데 실제로 이루어진다면 우리나라와 같이 수출을 중심으로 먹고 사는 나라들은 경제적으로 매우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1월 7일 작성 됨
Q.
주식을 하는 사람들은 주식을 살때 보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실제 해보면 살 때보다 팔 때가 훨씬 유혹도 많고 멘탈도 중요합니다. 수익이 날 때는 혹시나 떨어질까봐 빨리 팔고 싶어지기도 하고 과감하게 손절을 해야 할 때도 있고 해서 매도하는게 훨씬 더 고난이도라고 생각합니다 사람의 심리를 이겨내야 하는 부분 같습니다
경제동향
2024년 11월 7일 작성 됨
Q.
미코노미는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미코노미는 나 자신을 위한 소비를 강조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저렴한 제품보다는 어느 정도 가격대 있는 제품들이 중심이 됩니다. 나 자신을 위해 투자를 한다라는 개념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제품에 따라서는 대형화보다는 소형화 추세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여럿이 사용하는 제품이 아니라 나 혼자만을 위한 제품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경제동향
2024년 11월 7일 작성 됨
Q.
미코노미가 나타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요?
미코노미는 말씀하신 대로 나 자신을 위한 소비가 트렌드인 경제를 말합니다. 이것의 주요 원인은 일인 가구가 많이 늘었기 때문이고 또한 가족 구성원에 있어서도 대가족보다 소규모 가족이 늘면서 나 자신에 대한 투자를 할 만한 여유가 생겼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얼마 전에 유행했던 욜로 소비 트렌드 와도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자산관리
2024년 11월 7일 작성 됨
Q.
펀드에서 순자산가치인 NAV는 어떤 식으로 계산하나요?
제가 아는 선에서는 개인이 순자산 가치를 제대로 계산하기는 어렵고 개인이 할 수 있는 수준으로는 맨 처음이 백이라고 가정을 했을 때 해당 지수가 그날 삼프로 올랐다. 하면 순자산가치는 3 프로 가을은 103 이 되는 게 정상입니다. 이런 식으로 매일매일 하루하루의 상승률 하락률만큼만 움직이는 게 정상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511
512
513
514
5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