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한도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도리 전문가입니다.
한도리 전문가
디자인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기계공학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유기체 로봇이 나올수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기계가 사람화가 될순 없습니다. 유기체의 기준을 사람과 똑같은 세포라고 한다면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사람과 비슷한 구조라고 한다면 이는 가능하다고 봅니다. 실제로 현재도 모사된 유사 근육 등을 사용한 팔 다리 로봇등이 연구 개발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인간의 DNA는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는데 만일 인간의 몸에서 DNA가 전부 사라진다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DNA는 유전자의 지표 역할을 하고,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저장합니다. DNA가 사라진다면 생명체는 더 이상 유전 정보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기능을 상실하게 됩니다. 인체에서 DNA가 완전히 사라질 수 있는 경우는 없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특이점이 모든 현상에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분야에 적용된다기 보다는 특정 상황에서 적용이 되는겁니다. 그리고 사용함에 따라서 그 의미도 조금씩 다르게 됩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특이점은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시점을 말씀하시는 것같습니다.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여러 분야에서 한계를 넘다는 말로 또는 아예 다르게 변한다는 말 등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영화 콘택트에 외계인이 지구의 방송을 청취하는게 나오잖아요 이게 실제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불강능하리라 봅니다. 신호 자체가 거리에 따라서 계속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다만 우주 멀리 가는 신호를 개발한다면 가능할 수도 있을 겁니다. 지구에서 역시 외계의 신호를 잡을려고 하는 노력들이 많이 있으니까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왜 바다는 겨울엔 추운데 여름엔 뜨겁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여름과 겨울에 변화되는 온도량은 비슷하지만 사람기준의 체감온도가 다른겁니다. 바다의 경우 온도 변화가 크지 않습니다. 사람의 상대적인 온도감지 차이에 의해서 오히려 느껴지는 변동폭이 더 클 것입니다. ^^
생물·생명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사람사이에 전파되는 바이러스가 만일 모든 사람들이 떨어져서 지낸다면 바이러스 박멸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바이러스가 배출되지 않고 사멸된다면 가능한일입니다. 그래서 거리두기가 생긴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거리두기가 쉬운게 아닙니다. 그건 실제적으로 거리두리를 통해서 검증이 되었죠.
생물·생명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바이오 시밀러가 어떤 약같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복제약의 의미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다만 정체하는 방법이 다르므로 바이오시밀러라고 합니다. 보통 이는 원본이 되는 약과 완벽하게 비슷하지는 않기 때문에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습니다만 원본약의 대체제로 다방면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어린왕자는 엄청 작은 소행성에서 살잖아요. 만일 크기가 작지만 질량이 무거운 소행성이 실존하면 우리도 살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재미있는 상상이시네요. 지구와 비슷한 중력이고 자전 및 공전을 한다는 조건하에서는 생존이 가능합니다. 다만 이는 다른 조건을 다 무시할 경우고 실제로는 인간 생존에 필요한 기본적인 것들 즉 산소와 음식등이 없으므로 생존에 불가능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우주 공간에는 소리가 없다는데 왜 소리를 낼 수 없나요? 우주선 안에서도 소리를 못내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소리는 공기같이 매질이 있어야합니다. 이 매질을 통해서 진동이 전달되어야 소리가 전달되는겁니다.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어떤걸 빅데이터라고 하는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디지털환경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말합니다. 규모가 매우 큰 특징이 있습니다. 이 빅데이터를 분석을 해허 여러 산업 등의 기술 개발에 통계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빅데이터란 학문 자체도 탄생하게 된것이죠. 그리고 이는 인공지능의 중요한 부분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376
377
378
379
3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