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홍기윤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전문가입니다.

홍기윤 전문가
LG디스플레이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명과학에서 상동염색체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생물의 세포에 있는 염색체 중에는 성을 결정하지 않고 인체의 다른 여러 가지의 형질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염색체인 상염색체가 있다. 일반적으로 상염색체는 암·수가 공통으로 가진다. 상염색체는 생물체의 여러 형질을 결정짓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 중 모양과 크기가 같은 염색체가 2개씩 짝을 이루는 것을 상동염색체라고 한다. 생물체가 상동염색체를 가지기 때문에 감수분열에서 염색체의 수가 반감된다출처:나무위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해양심층수는 생수로 바로 먹는 물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해양심층수(海洋深層水)는 수심 200미터 아래의 깊은 바다에 있는 물입니다. 줄임말로 심층수라고도 합니다. 표층에 있는 바닷물과는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다. 해양심층수는 지구상의 가장 깨끗한 식수원이기도 하기 때문에,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는 식음료 등 관련 상품이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역시 정부 차원에서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출처:위키백과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산재사이에 사는 지의류라는 생명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지의류는 단일한 생물체가 아니며 광합성을 하는 미생물인 진핵 미세조류 또는 남세균(cyanobacteria)과 종속영양으로 살아가는 미생물인 균류 간 상리공생체이다. 지의류에서 광합성을 담당하는 파트너는 유기 영양분을 생산하고 균류에게 제공하며, 균류는 식물 뿌리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 공생체를 지탱하고 더불어 수분과 무기 영양분을 흡수하여 광합성 파트너에 전달한다. 이들을 각각 광합성 공생자(phycobiont)와 균류공생자(mycobiont)라고 한다.출처:미생물학백과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연금저축 출금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연금저축펀드계좌에 입금하면 연말정산시 세액공제를 받게 되는데, 이 계좌에서 인출은 가능하나 인출시 연말정산시 받은혜택이 제외하고 인출이 될겁니다. 잘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화학 용어 중에 보조효소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효소 중에는 촉매 활성을 갖기 위하여 단백질 구조만 필요한 단순 단백질 효소도 있지만, 대부분의 효소들은 촉매 활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보조효소(coenzyme)를 필요로 하는 복합 단백질 효소이다. 보조효소는 효소의 단백질 부분인 아포효소(apoenzyme) 내 보조효소 결합 부위에 가역적으로 결합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효소는 활성을 나타낸다. 아포효소 자체는 활성을 갖지 않지만 보조효소와 결합하여 활성을 갖는 완전효소(holoenzyme)가 된다.출처:생화학백과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추운 날 서리가 내리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서리는 날씨가 추워지게 되면서 공기 중에 수증기가 찬 물체에 얼어붙어서 만들어진 얼음 결정체 입니다. 서리가 얼기 위해서는 기온이 빙점(0도)이하로 내려가야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지구과학 용어 중에 대마난류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쿠로시오해류로부터 분리되어 대한해협을 거쳐 동해로 진입하는 난류로 쓰시마난류(Tsushima Warm Curren)라고도 한다. 비교적 고온, 고염분의 해류로서 수심 약 200 m까지 영향을 미치며, 유속은 1∼2노트이다. 동해 전체 해수의 약 1%에 불과한 적은 양이지만, 해양의 상층을 흘러가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과 러시아의 동해 연안 기상 및 수산업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대마난류를 구성하는 주요 해수는 대한해협으로 유입하는 고온 고염분수(10∼20℃, 34.2∼34.7 psu)로 대마난류 중층수라고 불린다. 여름에 유입하는 고온 저염분수(20℃ 이상, 30∼34 psu)는 표층수로 강우와 하천수의 유입에 의해 동중국해 및 황해에서 형성된 해수이다.출처:지구과학사전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땅거짐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땅이 원통 혹은 원뿔 모양으로 꺼지는 현상으로, 균열대(지층이 어긋나 균열이 생긴 지역)를 채우고 있던 지하수가 빠져나가면서 빈 공간이 생기거나 지반의 무게를 견디지 못해 땅이 주저앉으면서 생기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흑색왜성이라는 건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흑색왜성은 백색왜성이 오랫동안 냉각된 후 더 이상 빛을 내지 않는 상태로 남겨진 최후의 항성 잔해이다. 백색왜성이 이 흑색왜성이 되려면 아주 긴 시간이 필요하므로 현재 우리 우주의 나이(137억년) 동안 만들어지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테면, 태양의 경우 앞으로 50억년이 지나면 백색왜성이 되는데, 이 백색왜성이 냉각되어 흑색왜성이 되는데 1천조(10^15) 년이 걸릴 것이다. 따라서 흑색왜성은 현재 우주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적인 천체이다.출처:천문학백과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날씨가 추워지면 콧물이 나오는 과학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에는 차고 건조한 공기로 호흡을 합니다. 이 차고 건조한 공기는 호흡을 힘들게 합니다. 호흡을 편하게 하기 위하여 콧물이 흘러서 공기를 더 촉촉하게 해준답니다. 하지만 많은 콧물이 우리 코 안에 모이면 콧물이 흐르게 되는 것입니다.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