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김기약 성분중에 항히스타민 성분으로 인해 감기약을 먹으면 졸린건가요?
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일반적으로 감기약 중 콧물약으로 많이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인 클로르페니라민(Chlorpheniramine), 세티리진(Cetirizine) 등의 성분에 의해서 졸음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히스타민(Histamine)은 우리 몸에서 각성 작용을 일으켜 중추신경의 흥분성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는 물질입니다. 알레르기, 콧물약으로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는 이런 히스타민을 억제해 졸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항히스타민제는 1세대, 2세대, 3세대로 구분합니다. 세대가 낮을 수록 뇌쪽으로 물질의 이동을 막는 혈액-뇌 장벽(BBB)를 더 잘 통과하기 때문에 뇌로 이동하는 약물의 양이 늘어나고 졸음과 같은 진정 부작용이 더 강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세대가 높을 수록 혈액-뇌 장벽을 잘 통과하지 못해 진정 부작용이 약해집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진정 부작용이 클수록 항히스타민제의 약효가 크기 때문에 증상과 상황에 따라서 항히스타민제의 세대를 조절해서 사용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Q. 치과 처방된 약들 먹고나니깐 속이 너무 쓰려요
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아목시실린(Amoxacillin) 성분의 항생제인 아목사펜 캡슐과 나프록센(Naproxen) 성분의 소염진통제인 아나프록스정은 위부불쾌감, 위통, 구역, 소화불량, 위장출혈과 같은 위장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약입니다. 특히 아나프록스정과 같은 NSAIDs 계열의 소염진통제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하는 COX(사이클로옥시게나제)라는 효소를 억제해 해열/진통/소염효과를 나타내는데, 이때 생성이 감소된 프로스타글란딘의 영향으로 위산 분비가 증가하고 위장을 보호하는 점막의 생성이 감소됩니다. 따라서 소염진통제를 복용하실 경우에 속쓰림과 같은 위장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치과에서 처방받으신 약에 위장약이 있기는 하지만 위장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 식사 후 복용하시는 것이 좋으며, 속쓰림과 같은 위장장애가 심한 경우 병원에 말씀드려 위장장애가 덜한 소염진통제로 처방을 변경하시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감사합니다.
Q. 항생제, 소염제 안약과 먹는 약 같이 써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네, 안약은 전신으로 흡수되는 비율이 낮기 때문에 같이 병용하셔도 괜찮습니다.비뇨기과에서 처방받으신 드시는 약 페니멘틴정 625mg / 니자엑스캡슐 / 아세클낙정 / 베타그론서방정은 안과에서 처방받으신 점안액들인 루체엘 점안액 / 오큐메토론 점안액과 같이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눈에 넣으시는 점안액들은 외용제이며, 사용하셔도 전신으로 흡수되는 비율이 낮습니다. 따라서 큰 걱정하지 않으시고 병용하셔도 괜찮습니다.보통 점안액들은 비루관(코눈물관)을 통해서 전신 흡수되기 때문에 항생제인 루체엘 점안액과 스테로이드인 오큐메토론 점안액을 사용하실 때는 비루관을 1분 정도 눌러주시는 것이 좋습니다.감사합니다.
Q. 펠프스정, 슈다페드정, 포리부틴정, 메디락디에스장용캡슐, 복용후 자일린정 약 시간간격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소염진통제 펠루비프로펜(Pelubiprofen) 성분의 펠프스정과 비충혈제거제(코막힘약) 슈도에페드린(Pseudoephedrine) 성분의 슈다페드정 복용 이후에 비염약으로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 레보세티리진(Levocetirizine) 성분의 자알린정을 복용하실 때는 시간 간격을 두지 않고 같이 복용하셔도 괜찮습니다. 자알린정은 식사와 상관없이 한번에 1정씩, 하루 1번 복용하시면 됩니다. 실제로 감기 증상이 있을 때 소염진통제와 비충혈제거제는 항히스타민제와 같이 처방되어 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추가적으로 소염진통제인 펠프스정은 공복에 복용하시는 경우 속쓰림과 같은 위장장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식사 후 복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