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황성원 전문가
혜강종합관리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꽃가루도 미세먼지에 포함되나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미세먼지는 주로 자동차 배기가스, 공장 연기, 황사 등에서 발생하는 아주 작은 입자들로 크기가 매우 작아 폐 깊숙이 침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꽃가루는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나오는 입자로, 보통은 미세먼지보다 크기가 크지만 공기 중에 떠다니며 알레르기나 천식 등의 원인이 됩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요즘에도 석면을 사용하는곳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요즘은 대부분의 나라에서 석면 사용이 엄격히 제한되거나 금지되어 있습니다. 왜냐하면 석면은 흡입 시 폐질환(특히 중피종, 석면폐증, 폐암)을 유발할 수 있는 1급 발암물질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국가나 특정 용도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되거나 과거에 설치된 석면 자재가 잔존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우리나라는 2009년부터 석면 사용이 금지됐고 2011년부터 석면 함유 건축자재는 전면 금지되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고층 건물은 왜 대부분 유리 외벽을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고층 건물들이 유리로 된 외벽(커튼월)을 자주 사용하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먼저 유리는 콘크리트나 벽돌보다 훨씬 가볍기 때문에 고층 건물의 하중을 줄이는 데 유리합니다. 그리고 커튼월 시스템은 공장에서 유닛 단위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기 때문에 시공 속도가 빠르고 품질 관리가 쉽다고 합니다.여기에 유리 외장은 깔끔하고 현대적인 이미지를 주기 때문에 기업이나 고급 주거시설에서 선호한다고 보면 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뉴스에서 싱크홀이라구도 하고 땅꺼짐이라고도 하는데요. 어떤명칭이 맞는지 아니면 서로 다른현상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뉴스나 일상에서 자주 듣게 되는 "싱크홀"과 "땅꺼짐"이라는 표현은 비슷하게 들리지만, 정확히 따지면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는 거의 같은 현상을 가리키며 상황에 따라 쓰임이 다를 수 있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싱크홀은자연적 요인 중심이고 땅꺼짐은 보다 넓은 개념으로 인위적 원인도 포함된다고 합니다. 뉴스에서는 외래어가 더 눈에 띄어서 "싱크홀"이 자주 등장하지만 "땅꺼짐"이 더 쉬운 우리말 표현이라고 보면 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도로에 칠해놓은 페인트 성분이어떻게되나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도로 표시용 페인트는 도로 위에 차선, 횡단보도, 화살표, 제한속도 등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페인트입니다. 일반적인 페인트와는 달리, 외부 환경에 강하고, 반사율이 높으며, 마모에 잘 견디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일반 도로에 주로 사용되는 페인트는 열가소성 페인트와 수용성 아크릴 페인트를 많이 사용합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 자연 녹지 감소가 지역 기후에 어떤 단기적 반응을 유도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간단하게 생각하면 자연 녹지가 감소하면 식생이 줄어들어 토양과 지표면이 태양열을 더 많이 흡수하고 열을 방출하지 못해 지역 온도가 상승합니다. 특히 도시에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열을 저장하고 방출하여 기온이 더 높아지는 현상이 심화됩니다. 이런 현상이 심해져 탄소 흡수원이 사라지면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해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 된다고 보면 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산불화재시 사용하는 임도를 만들면 우리나라 지형에는 산사태를 유발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임도는 산불이 발생했을 때 소방차나 인력이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방화선 역할도 할 수 있어서 산불 확산을 막는 데도 유리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전체 국토의 70%가 산지입니다. 특히 급경사 지형에서는임도를 개설하면서 흙을 깎고 절토(절개)하거나 땅을 메워 성토하게 됩니다. 이런 구조는 비가 많이 오면 쉽게 붕괴되거나 토사 유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다가구 주택 벽에 금이 가서 안전사고 위험?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다가구 주택 벽면에 금이 갔다면 본인들이 보수를 하는게 맞습니다. 일단 구청에서 관계인이 나와 확인은 하겠지만개인재산에 문제가 생긴것이기에 건물 소유주가 보수를 하는게 맞습니다. 소유주가 여럿이라면 모여서 방법을 강구하면됩니다. 지자체에서 특별히 해주는 건 없다고 봅니다. 아마 소유주분들에게 연락은 취해주는 걸로 압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비행기는 창문이 열리지 않는데 환기나 산소 공급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비행기 엔진에서 나오는 고온, 고압의 공기 중 일부를 블리드 에어라고 해서 객실 내부로 보냅니다. 이 공기를 냉각, 여과,압력 조절을 거쳐 사람이 숨 쉬기 좋은 상태로 만든 뒤 객실로 공급하게 됩니다. 그리고 기내 공기는 완전히 갇혀 있는 게 아니라, 약 2~3분마다 한 번씩 전부 교체되는데 외부에서 여과된 공기가 들어오고, 사용된 공기는 비행기 뒤쪽 압력배출구로 배출되게 됩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올 봄에도 강한 비가 많이 오는 이유도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위기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올 봄에 강한 비가 자주 오는 현상도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위기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기후 위기의 특징은 바로 “극단적인 기상 현상의 증가”입니다. 강한 비, 폭우, 집중호우 뿐 아니라 폭염, 한파, 태풍도 더 강력하고 잦아지고 있는데 이게 모두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상 이변이라고 보면 됩니다.
1161171181191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