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플라스틱이 뜨거운물에닿아 환경호르몬이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플라스틱이 뜨거운 물에 닿았을 때 환경호르몬이 나올 수 있는 이유는 일부 플라스틱이 고온에서 화학물질을 방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화학물질들은 환경호르몬, 즉 내분비계 교란 물질로 작용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비스페놀 A와 같은 화학물질이 있습니다.플라스틱에서 나온 환경호르몬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간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의 종류, 사용된 화학물질, 온도, 사용 시간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일단 화학물질이 플라스틱에서 방출되면 시간이 지나면서 그 농도가 감소할 수 있지만 완전히 사라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Q.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소의 현황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는 총 24개의 상업 운전 중인 원자로가 있습니다. 이들은 주로 고리 원자력 발전소, 한빛 원자력 발전소, 한울 원자력 발전소, 월성 원자력 발전소, 고리 원자력 발전소 등이대표적입니다. 이들은 대부분 전력 생산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전체 전력 생산에서 원자력 발전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2025년 현재, 전체 전력 생산에서 약 20~30% 정도가 원자력 발전을 통해 공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자력 발전에 대한 안전성, 환경적 문제, 원전 폐기물 처리 문제 등에 대한 우려가 커졌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원자력 발전의 비중을 줄이려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재생 가능 에너지와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