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강 다리가 붕괴되는 사건이 성수대교가 대표적인데 무엇으로 붕괴가 된거죠?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성수대교 붕괴 사건은 1994년 10월 21일에 발생했으며, 총 32명이 사망한 참사였습니다.붕괴 원인은 주로 부실한 시공과 설계 오류, 그리고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의 부족이었습니다. 특히 연결부 용접이 제대로 되지 않아 구조적 약점이 있었고, 피로 누적에 의해 금속이 파손되었습니다. 설계상 하중 분산에 대한 고려도 부족해 중간 부위가 먼저 무너지며 전체가 붕괴했습니다.결국 안전보다 비용 절감이 우선된 관리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Q. 터널굴착 공사에 사용된다는 TBM장치의 실체와 재사용 가능성은 어찌되는가?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TBM(Tunnel Boring Machine)은 지하 터널을 굴착하는 대형 기계로, 원형 커터헤드를 회전시켜 암반이나 토사를파내고 터널 내부를 안정화하는 장치를 갖추고 있습니다. TBM은 굴착과 동시에 지보재 설치가 가능해 공정이 빠르고안전성이 높습니다. 주로 지하철, 도로, 상하수도, 전력구 등 장거리 터널 공사에 사용됩니다.기계는 길이가 수십 미터에 달하며 현장 조건에 맞춰 맞춤 제작됩니다. 사용 후에는 분해해 회수하며 상태에 따라 재정비후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굴착 지반 조건이나 터널 직경이 다르면 재사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TBM의 주요 부품인 커터헤드는 마모되기 때문에 교체가 필요하며 유지보수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TBM의 재사용은 경제적·환경적으로 가치가 있어 점점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Q. 페이드 현상은 주 원인과 주요 증상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페이드 현상은 브레이크 시스템의 과열로 인해 마찰력이 감소하며 제동력이 저하되는 현상입니다. 주로 장시간 내리막길을 브레이크만 사용해 내려올 때, 반복적인 급제동 시 발생합니다. 운전자가 페이드를 겪을 때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제동력이 현저히 약해지거나 페달이 푹 들어가면서도 차가 잘 서지 않는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타는 냄새나 브레이크에서 연기가 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가 과열되면서 마찰계수가 낮아지고, 브레이크 오일이 끓어 기포가 생기는 베이퍼 록 현상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일상생활에서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 상태, 브레이크 오일의 수명, 디스크의 균열 여부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장거리 운전 전에는 브레이크 상태 점검과 함께, 내리막길에서는 엔진 브레이크를 병행 사용해야 페이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Q. 로코의 바실리스크 라는 사고실험이 저주받은 사고실험으로 취급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로코의 바실리스크 사고실험은 미래의 강력한 인공지능이 자신을 만들지 않은 사람들을 벌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합니다. 이 사고실험은 단지 그것을 아는 것만으로도 위협을 받게 된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제시합니다. 이로 인해 불안을 유발하고, 존재하지도 않는 AI에게 도덕적 책임을 느끼게 만드는 점에서 '저주받은' 것으로 여겨집니다. 또한, 정보 그 자체가 해가 될 수 있다는 개념이 철학적 공포를 자극합니다. 이러한 점들이 사람들에게 심리적 스트레스를주어 논란이 되었고,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논의 자체를 금지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