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카멜레온은 어떡해 색깔을 마음대로 바꿀수있나요
안녕하세요.카멜레온의 피부에는 나노수준의 특수한 격자구조가 있습니다. 카멜레온은 근육을 수축하거나 이완해서 피부를 당기거나 느슨하게하여 격자구조를 바꿉니다.바뀐 격자구조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파장이 달라져 색을 바꿀 수 있습니다.실제로 색소를 가지지 않지만, 결정구조를 바꿈으로 색을 조절 할 수 있습니다.이런 색을 구조색이라고 하는데, 몇몇 새들의 파란색도, 실제 파란 색소가 없지만 깃털의 특수한 구조 때문에 파란색으로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런 카멜레온의 색변화 원리를 카피해서 같은 원리로 색을 내는 소재도 개발되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LMO(유전자조작동물)부작용,윤리적 문제
안녕하세요LMO는 GMO에 속하는 그룹으로, GMO는 LMO를 가공하여 만든 상품까지 포함합니다.LMO는 유전자조작 동물만 속하지 않고, 인위적으로 유전자에 변형을 가한 모든 생물을 말합니다.LMO와 관련된 부작용, 윤리문제는 GMO로 인한것과 같기 때문에 GMO로 검색하는게 더 많은 결과가 나올것입니다.LMO와 관련되어 우려되는 부분은 수정한 유전자가 외부로 이동하는 것입니다.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다른 미생물에게 옮겨지면(같은 종의 세균은 서로 유전자 교환이 가능하기에), 항생제 내성을 갖는 미생물이 생길 수 있습니다.또 식물의 유전자 수정도 마찬가지로 근연종에게 전달될 수 있고, 이로인해 생태계 교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윤리적 문제의 경우 미생물이나 식물의 경우는 거의 생물의 사용 자체에는 문제제기가 없으며, 특정 유전자 변형 생물을 기업이 특허를 내고 독점할 수 있어 기업윤리적 문제제기가 있습니다.동물의 경우 동물실험에 대해 문제제기가 있지만 이런 유전자 변형 기술이 식량문제, 의약발전, 환경보전에 모두 이익을 줄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계속 진행중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매미 중에서 주기 매미는 13년이나 17년에 한 번씩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주기매미는 생애 대부분을 땅 속에서 살다가 특정 주기에 단체로 땅 밖으로 나와 2주~4주정도 짝짓기를 합니다. 17년을 주기로하는 주기 매미는 17년가까이 땅 속에서 살다가 밖으로 나옵니다.주기매미의 종류마다 특정 주기를 가지고 땅밖으로 나오고 일반적으로 주기는 5,7,13,17 과 같은 소수로 약수가 자기자신과 1 밖에 없기 때문에 다른 주기의 매미들과 땅밖으로 나오는 시기가 잘 겹치지 않아서 성충들이 먹이경쟁을 할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잠자리가 짝짓기할 때 하트 모양이 되는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잠자리의 암수 생식기의 위치가 달라서 이런 자세가 생긴다고 합니다.수컷잠자리는 배(2-3마디의 사이)에 제2생식기가, 꼬리 끝에 제1생식기가 있습니다.수컷은 제1생식기에서 만들어진 정자를 제2생식기로 옮겨 수정을 합니다.꼬리끝 제1생식기에는 집게형태의 기관이 있어 암컷 머리를 잡을 수 있습니다.암컷 잠자리는 꼬리끝(8-9마디 사이)에 생식기가 있다고 합니다.수컷은 꼬리를 암컷 머리쪽으로 향한 후 암컷의 머리를 꼬리로 잡고다음 암컷이 수컷잠자리 배쪽으로 꼬리끝을 가져다 대면서 짝짓기가 진행됩니다.그래서 특이한 하트 혹은 반달 모양이 만들어집니다. 수컷은 암컷의 머리를 계속 잡고있음으로 다른 수컷이 암컷에게 수정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이 생각 할 수 있는 동물이란게 안믿깁니다
안녕하세요.사람이 생각하는 동물이다 라는 관점은 사람이 자유의지를 가진다와 같은 말로 볼 수 있습니다.이 문제는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난제입니다.많은 과학자들이 이 자유의지의 기원을 찾기위해 노력중입니다.자유의지가 실존하는지의 여부는 논쟁이 되고 있습니다.인간이 직접 선택한다는 자유의지적 관점과, 이미 모든 물리법칙의 인과관계로 무엇을 선택하고 행동할지 이미 다 결정되어 있다는 결정론적 관점입니다.어떤 연구에 의하면 사람이 무언가를 선택할 때, 뇌의 활동을 보고 이사람이 어떤 선택을 할지 알 수 있다고 합니다.또 뇌파를 읽는 로봇과 가위바위보를 하는 실험에서 로봇이 뇌파로 미리 상대가 무엇을 낼지 알아서 항상 이길 수 있었습니다.그래서 자신이 선택했다고 믿지만, 사실 뇌가 먼저 신호를 보내 행동하는 것이다. 인간의 자유의지는 없다 라고 결론을 내어 논란이 되었습니다.이 관점에는 뇌도 나의 부분이라는 점에서 단지 내가 내 생각을 인식하는 속도가 느릴 뿐 뇌의 신호 자체가 내가 결정해서 내보내는 것 이라는 반박하기도 합니다.아직 자유의지의 유무는 계속 연구중이며, 논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풀밭에 있는 잡초는 어떤성질로인해 뽑아도 계속해서 자라는건가요?
안녕하세요.잡초의 경우 성장속도가 빠르고 환경적응력이 뛰어난 풀들이 많습니다.뿌리에 영양을 많이 저장하고 있을 경우 남은 뿌리에서 다시 자라날 수 있고,씨앗이 무척 작아서 이미 땅에 수많은 씨앗이 자라집고 있을 수 있습니다.특히 뽑거나 베어낼 때 씨앗이 잘 퍼집니다.씨앗은 대기하고 있다가 비가 내리면 빠르게 뿌리를 내리고 자라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버섯은 자체가 균인데 버섯은 상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버섯은 여러 항생물질과 방어물질을 생성해서 다른 곰팡이나 세균이 접근하지 못하게 합니다.하지만 버섯도 생물이라 죽을 수 있으며, 죽게되면 모든 세포기능이 멈추고 여러 물질의 합성도 멈춥니다.죽은 버섯은 더 이상 기능하지 않는 죽은 세포덩어리 이며, 세균과 다른 균류 등에 의해 썩고 분해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샴 쌍둥이가 태어나는 원리는 어떻게 설명되나요?
안녕하세요. 샴 쌍둥이는 일란성 쌍둥이와 같은 원리로 나타납니다. 일란성 쌍둥이는 수정란 한개에서 시작하여 발생과정 중 두개로 나뉘어 그 각각이 개체로 발생한 것인데요.샴쌍둥이도 수정란 하나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에, 둘은 일란성 쌍둥이처럼 유전자가 같으며 성별이 같고 닮아있습니다.일란성 쌍둥이와 다른 점은 수정란이 분열하다 2개로 나누어 지려할 때,분리가 진행되다가 도중에 멈추어 버려 완전히 분리되지 않게되어 분리가 이미 된 부분은 각각의 개체로 발생하지만 분리가 완료되지 않은 부분은 하나의 개체로 발생한다는 점입니다.이런 이유로 인해 신체의 일부가 결합된 채로 태어나게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곰팡이는 방안이든 밀폐된 반찬통이든 어느 곳에서나 생기는데요.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곰팡이들이 항상 떠다니고 있고 습해지기만 하면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곰팡이포자는 무균실을 제외하면 어디에나 있다고 볼 수 있을 만큼 주변에 흔하게 존재합니다.방의 바닥의 먼지에 섞여있거나, 공기중에 떠다니고 벽지나 가구에 묻어있을 수 있습니다.곰팡이는 많은 수의 포자를 퍼뜨려 번식하고이 포자는 알맞은 환경이 나타날 때까지 버티다 환경이 맞으면 균사를 내리고 곰팡이가 증식하기 시작합니다.사실상 생활공간에서 곰팡이 포자를 완전히 제거할 방법은 없습니다.다만 낮은 습도에서는 피어나지 않으므로 습도를 낮게 유지해 주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밀폐용기에 든 음식에서 피는 곰팡이는 이미 음식에 포자가 붙어있었거나, 음식을 덜어내기 위해 용기를 여닫을 때 들어간 포자가 피어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멧돼지가 장소를 가리지않고 출몰하는데
안녕하세요.멧돼지는 개체수가 많고 번식력도 좋습니다. 그리고 분포지역도 다양합니다.하지만 인간의 활동영역이 넓어짐에 따라 서식장소가 겹치는 곳이 늘었고 인간과 마주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식량을 구하기 힘들 때 근처 농가에서 농작물을 먹고가는것이 식량을 구하기 쉬운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농가에 자주 출몰하게됩니다. 우리나라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확산을 막기위해 지속적으로 멧돼지 포획을 실시하고 있어서 옛날만큼 개체수가 많지는 않습니다.
1211221231241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