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휴 미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휴 미술전문가입니다.

김휴 전문가
휴쿤스트
Q.  작품을 볼땐 어떤걸 집중적으로 봐야될까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작품마다 장르가 다양하고 분야가 있습니다. 예를들면 고향을 주제로 클래식음악을 듣는것과 트로트를 듣는것에 차이가 악기연주의 조화나 앙상블. 정서에서 주는 구수한 가사의 향수. 이렇게 같은 고향을 듣는데 오는 감정이 다를 수 있습니다. 표현은 일차원적인것도 있고 삼차원적일수도 있으며 넘어서 비유하고 꼬아놓기도 하여 감상자에게 맡기는 미술표현도 많습니다. 우선 분야가 미술일지라도 위 예시처럼 분야를 파악하시면 좀 더 이해를 할 수 있고 무엇보다 개인의 안목이 곧 개인의 수준이 되기에 많이 알고 감상하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받아드리는 기준에 변화가 생겨납니다. 정의 내린다는게 항상 시간에 따라 변한다는 것처럼 감상도 개인의 변화가 생겨납니다.
Q.  007에 나왔던 인상파 작가의 그림이 뭐였죠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샘 멘데스 감독의 영화 007 스카이폴의 한 장면인것으로 제임스본드가 영국 내셔널갤러리에 걸려있는 윌리엄 터너의 배 그림 작품입니다. 제임스 본드가 런던의 내셔널갤러리에 앉아 있다가 젊은 정보원 Q와 접선하는데 둘이 보고 있는 작품이 윌리엄 터너의 작품제목 ‘전함 테메레르, 해체를 위해 정박지로 끌려가는(The Fighting Temeraire, tugged to her last Berth to be broken up, 1838)입니다. Q는 과거의 영광을 상징하던 커다란 배가 끌려가는 모습에 멜랑콜리를 느낀다며 제임스 본드를 비아냥거리는데 본드는 젊음이 꼭 혁신을 상징하는 것은 아니라고 답하는 장면입니다. 당시 인상파화가들은 자연을 모티브로 공기나 대기의 스며드는 시간과 색감 빛깔 등에 대한 관찰을 모티브로하여 움직이는 풍경을 빠르게 캡쳐하듯 화폭에 담았는데 산업혁명으로 인한 대기오염 역시 인상파 화가들에겐 흥미로운 포착의 대상이었습니다. 클로드 모네가 대표적이며 터너는 점차 그보다 더 추상적인 화면처리를 하였습니다.
Q.  코리아라는 단어는 어떻게 유래가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가 16세기 고려시절 고려의 무역항인 벽란도에 많은 아라비아 상인들이 출입하였고 고려에 인삼 비단등을 수입한 이들에 의해 서양에 처음으로 Corea로 소개되었습니다. 이렇게 서양에 알려지면서 고려가 표기되는 세계지도에 알파벳 c로 시작하는 conray cory coree corea 등등이 19세기 영어권에서 corea의 앞c가 k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k문화가 되는데 아직 유럽 여러나라에서 우리나라는 c로 시작하는 표기가 많습니다.
Q.  흑사병의 원인은 무엇이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347년 상선 함대 하나가 시칠리아의 메시나항에 당도했는데 이 배의 선원들은 이상한 전염병에 걸려 있었으며 당도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전부 사망하였다고 합니다. 이것이 유럽에 흑사병이 전파된 첫 계기였고 1347년~1348년 사이 제노바와 베니스에 흑사병이 퍼졌습니다. 이탈리아 전역으로 확산된 흑사병은 유럽 전역으로 번져 나갔습니다. 1348년 프랑스, 에스파냐, 포르투갈, 잉글랜드 지역에서 흑사병이 발생하였고 1349년 - 1350년 사이 흑사병은 독일과 스칸디나비아반도에까지 확산되기에 이르렀습니다. 노르웨이에서 처음으로 흑사병이 발생한 것은 1349년으로 아스퀴 항에 당도한 선박에서부터 전염된 것이었습니다. 이 흑사병은 베르겐에까지 번져나갔습니다. 1351년이 되자 흑사병은 러시아에서도 확산되었고 결국 폴란드를 제외한 유럽 전역에서 흑사병이 창궐하였으나 벨기에와 같은 몇몇 지역은 화를 면했습니다. 중앙아시아에서 감염된 쥐나 벼룩의 세균을 먹은 개가 사람에게 옮겨진 이유와 가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혈액형 항체중 B형이 가장 취약했으며 AB형도 빠르게 감염되었다고 합니다. 유럽에서 있었던 흑사병의 출현의 가설 중 흥미로운 것으로는 비록 다른 종의 설치류라 하더라도 벼룩에 의해 원인균이 전파된다는 점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건너온 곰쥐 뿐 아니라 원래부터 유럽에 있던 시궁쥐에 의해서도 흑사병이 전파될 수 있었다고 합니다. 특히 시궁쥐는 다른 설치류와 달리 인간의 거주지에서 서식하는 생태학적 특성으로 인해 흑사병 전파의 주요 원인이 되었고 흑사병의 확산과 재확산 및 갑작스런 소멸에 대한 원인으로는 설치류와 인간의 집단 면역 형성이 지목되고 있습니다. 중세시대 청결관리소흘과 염세주의 시대적배경을 원인으로 당시 유대인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흑사병에 걸리지 않았는데 그들만의 율법 중 손을 자주 싯는 율법으로 꼽고 있는데 당시 유럽은 이러한 유대인들을 원인으로 보기도하며 유대인혐오 및 유대인차별 유대인학살로도 이어지게됬다고 합니다.
Q.  에드바르 뭉크도 나체화를 그렸나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뭉크도 여러점의 누드화를 그렸습니다. 그 중 사춘기라는 작품이 있습니다. 뭉크는 자신의 고통스러운 유년 시절에 대해 '질병, 광기, 그리고 죽음. 이것이 오히려 자신의 요람을 지키는 암흑의 천사였다.'라고 적고 있습니다. 요양원에서 우울증 치료를 받던 중 뭉크는 자신의 정신병이 그림을 그리는데 촉매 작용하고 있음을 알았고, '난 병이 치유되기를 원하지 않는다. 나의 예술에는 그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라고 표현했으며 뭉크는 질투, 관능적인 욕망, 고독 같은 극단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데 특히 능란했으며 자신의 그림을 통해 보는 이의 강력한 반응을 끌어내려 했습니다. '나는 사람들이 교회에서처럼 경외감에 모자를 벗을 수 있는 그런 그림을 그리고 싶다.'라고 말하기도 했는데요~ 당시 인상파가 유행하던 시절 자연을 화면에 옮기는것을 넘어 인간에 의한 감정. 감성등을 자극하는 표현주의 미술로 뭉크가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됩니다. 그의 표현은 인간적이고도 실존주의적인 철학적 요소를 지니며 제1차세계대전에서 패망한 독일 국민들에게 호소력있는 메시지를 남기게됩니다. 그 이후 독일 미술은 뭉크의 영향을 받아 인간의 본능적이고도 원시적인 20세기 표현주의 미술이 급부상하게 됩니다.
6162636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