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문민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문민기 전문가입니다.
문민기 전문가
대성테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학문
화학
2023년 9월 23일 작성 됨
Q.
입으로 하~ 호~ 바람을 불면 온도가 다른이유??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하~ 하면 입을 크게 벌리고 하게되고 호~ 하면 입을 오므려서 발음을 하는데 이는 입에서 나가는 공기의 기압차가 다릅니다.하~할때는 고기압이 형성되어 열을 방출하여 따뜻하며 호~ 할때는 공기의 흐름이 빨라 저기압을 형성합니다. 이 저기압은 주변의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차갑게 느껴집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9월 23일 작성 됨
Q.
흰구름과 먹구름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먹구름은 물의 함량이 높아서 우리눈에 먹구름으로 보이는 겁니다. 맑은 날 보이는 흰 구름또한 물을 머금고 있는데 이 물방울이 커지게 되면 빛을 반사하는 양보다 흡수하는 양이 많아지게 되는데 반사되는 빛의 양이 적어지면서 색이 점차 검은색으로 보이게 되며 우리눈에는 먹구름으로 보이게 됩니다.
전기·전자
2023년 9월 23일 작성 됨
Q.
초전도체 개발의 중요성과 응용 분야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초전도체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전지 저항이 0이라는 겁니다. 이는 전기 저항이 없으므로 전기 흐름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없다는 것이고 매우 효율적인 전기 전달이 가능하다는 겁니다. 이로 인해 전력 공급 효율성이 높아지고 비용을 절감하게 되는데 우리가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거의 모든 제품들의 비용절감을 가지고 올수 있게 됩니다.또한 초전도체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기 공학 분야에서 응용이 되는데 초전도자선 치료장치나 자기 공진현상을 이용한 자기고체 공진장치에 응용이 가능하며 치료장치등에도 사용이 가능합니다.또한 꿈의 교통수단인 자기장고속철도도 상용화가 되며 기타 거의 모든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고 보면 됩니다.
전기·전자
2023년 9월 23일 작성 됨
Q.
집에서 사용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어떤 과학적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자 분께서 말하시는 가루로 만든다는 것을 보면 분쇄건조식 음식물 처리기를 말하는것같네요.음식물 처리기의 유형은 크게 온풍건조식과 분쇄건조식, 발효소멸식의 3가지 유형이 있는데 이중에서 분쇄건조식이 부수고 말려서 가루로 만드는 것입니다. 우선 음식물에 열을 가하는데 내부 온도가 135도까지 올라가서 음식을 말리고 내부에 달린 분쇄기로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갈아버립니다. 이렇게 하면 닭뼈등의 단단한 쓰리게도 분쇄하며 부피를 줄이게 되어 표면적이 넓어져 건조 시간도 짧아지게 되며 가루만 남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9월 23일 작성 됨
Q.
하늘에 별을 보이는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핵융합으로 인하여 열과 빛이 방출되어 그것을 우리는 보는 겁니다. 도시는 많은 빛들이 우리가 별을 관찰하는 것을 방해합니다. 하지만 시골의 경우에는 도시에 비해 주변에 빛들이 작고, 또한 이 빛은 공기에 떠다니느 먼지들에 의해 산란이 일어나는데 시골의 경우에는 도시보다 맑은 공기속에서 더 선명하게 관찰이 가능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9월 21일 작성 됨
Q.
아이 스스로 대변을 본 후 뒤를 깨끗하게 닦는 것은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마다 편차가 있지만 보통 3~4살 무렵부터 대소변의 낮에 가리기가 되고 수년안에 밤가리기도 되니 초등학교 입학전에는 스스로 닦는 경우가 많지만 깨끗하게 닦는 것은 부모의 도움이 좀 더 필요합니다. 어른처럼 깨끗하게 닦았다는 확신이 없고 실수도 할 수 있기에 옆에도 시범을 보이거나 도와주며 스스로 할 때에도 마무리를 잘 하였는지 확인이 되었을 때 스스로 할 수 있게됩니다.
전기·전자
2023년 9월 21일 작성 됨
Q.
인덕션 사용을 위해서 전용용기가 필요한 과학적 원리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인덕션은 전자기 유도 방식과 와전류로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인데 간단히 설명하면 인덕션 위에 조리 용기를 올려 놓으면 인덕션 내부의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가 조리 용기 바닥에 와전류를 유도합니다.그리고 와전류는 전류 흐름에 대한 조리기구의 저항으로 인해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이 조리 용기를 가열시키는 것입니다.이 때 중요한 것이 인덕션의 표면 자체가 직접 가열되지 않고 간접적으로 조리 용기를 가열하며 또 자기장을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자성이 통하는 스테인리스나 철제용기만 사용이 가능합니다.그래서 인덕션 전용용기가 필요한겁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9월 21일 작성 됨
Q.
아이 소변은 언제쯤 가릴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3~4세가 되면 낮 소변을 가리게 됩니다. 그리고 낮 소변을 가리고 수 개월 혹은 수년이 지나면 밤소변도 가립니다.저역시 육아를 하면서 대소변에 대한 걱정이 많았는데 우리가 성장을 할 때 모두가 동일하게 크는 것이 아닌 성장기의 속도는 저마다 다르잖아요. 아이의 소변 가리는 것 역시 빠른 아이도 있고 천천히 시작하는 아이도 있으니 너무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혹여나 너무 신경이 쓰이면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기계공학
2023년 9월 21일 작성 됨
Q.
우리나라가 상업용 세탁기를 개발하지는 않는 건가요? 보통 다 외국 거더라고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삼성과 LG의 경우 상업용 세탁기 건조기를 이미 출시하였습니다. 대부분 업소용으로 납품하는데 빨래방이나 오피스텔등에 들어가는데 질문자 분께서 말하시는 것이 무인 세탁소의 세탁기라면 우리나라 상업용도 많이 보급이 되어 있습니다. 일반 가정용과의 차이를 보자면 상업용은 내구성이 좀 더 좋고 건조시 옷감이 덜 상하는 건조 방식으로 한답니다.
토목공학
2023년 9월 21일 작성 됨
Q.
높은 산에서 밥을 하면 설익은 밥이 되던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높은 산으로 올라갈수록 기압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물의 끓는점은 100도인데 기압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100도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물이 끓게 됩니다. 쉽게 말해 더 낮은 온도에서 쌀이 익게 되는거죠. 그래서 설익은 밥이 되는 것이고 이렇게 물의 온도가 낮아지는것의 대책으로 냄비 뚜껑위에 돌을 올려서 밥을 짓는 방법을 씁니다.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