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옥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전문가입니다.
김옥연 전문가
(주)무궁화신탁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4년 4월 22일 작성 됨
Q.
주식이나 코인을 시장가로 사고 판다는게 무슨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이나 코인을 시장가로 매매한다는 것은 현재 코인이나 주식이 거래되고 있는 가격의 호가로 매매를 한다는 것이에요
대출
2024년 4월 22일 작성 됨
Q.
주택담보대출 은행금리 낮추는법 알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택담보대출의 금리는 현재 사용하고 계신 은행이 아니라 다른 은행에서 대출 대환을 검토해보시면서 저렴한 곳으로 대환하시는 것이 중요해요
예금·적금
2024년 4월 22일 작성 됨
Q.
미국 고금리 상태가 오래됐는데도 경기가 좋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의 경우에는 2008년도 금융위기로 인해서 30년의 고정금리 대출이 만들어졌고 이로 인해서 2022년도부터 기준금리를 인상했지만 대출의 90%이상이 고정금리로 이루어져있어서 이자비용 부담이 증가하지 않아 가계의 가처분 소득이 그대로 유지가 될 수 있었어요. 그리고 코로나 시기에 보조금을 지원했는데 이것을 저축했다가 고금리 시기에 사용하면서 여전히 소비가 강세인 모습을 보였던 것이에요
대출
2024년 4월 22일 작성 됨
Q.
개인이 부채가 있는것은 자연스러운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개인이 부채가 있는 것 자체가 자연스러운일이라기보다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더 많은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서 부채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에요
경제정책
2024년 4월 22일 작성 됨
Q.
기획재정부에서 배당소득 분리과세 검토를 한다는데 정확히 어떤형태로 정책을 바꿀 계획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배당소득을 분리 과세할 경우 어떤 세율을 적용할 지 여부가 중요한데, 현행 소득세법에 따르면 배당소득과 이자 등 연간 2000만원 이상의 금융소득이 발생하는 경우 49.5%에 달하는 금융소득종합과세를 내야해요. 하지만 배당소득을 분리과세할 경우 현행 배당소득 원천세율(15.4%·지방소득세 포함)보다 높은 세율을 적용하되 감세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세율을 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에요
주식·가상화폐
2024년 4월 22일 작성 됨
Q.
주식분할의 사유로 거래정지가 된다는 공시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분할이라는 것은 액면분할이 되는 것을 말하는데, 주식이라는 것이 권리관계에 대한 증서이다 보니 분할을 통한 권리관계 변경과 확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에요
주식·가상화폐
2024년 4월 22일 작성 됨
Q.
국민연금 운용자금과 포트폴리오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국민연금의 운용자금은 국민들이 내는 국민연금세를 통해서 마련해서 운용하며, 운용 포트폴리오는 다음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주식·가상화폐
2024년 4월 22일 작성 됨
Q.
다른나라에 전쟁이 나는데 관련없는 국가들에서 금이나 대체자산 가치가 상승하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전쟁이 발발하게 되는 경우 국제정세의 불안감이 커지게 되면서 사람들은 국가를 초월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를 높이기 때문에 금의 가치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에요
주식·가상화폐
2024년 4월 22일 작성 됨
Q.
현 정권에서는 금투세를 폐지 하려고 하는 데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투세를 찬성하는 사람은 소득이 발생하는 곳에 세금이 있어야 세수가 증대되어 복지를 누릴수 있다는 주장이며, 반대의 경우에는 금투세로 인해서 큰손투자자가 이탈하게 되는 경우 증시의 하락이 발생하게 되면서 개미투자자들이 피해를 보게 된다는 것이에요
대출
2024년 4월 22일 작성 됨
Q.
지니계수는 어떤게 좋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지니계수는 '소득에 대한 공평한 배분'을 의미하는 지표이다 보니 소득분배가 균형있게 이루어져 있다면 국민이 행복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서 '행복지수'라는 표현을 하기도 해서 실제 지니계수가 0에 가까운 것이 좋다고 볼 수 있어요
386
387
388
389
3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