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옥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전문가입니다.
김옥연 전문가
(주)무궁화신탁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4년 4월 16일 작성 됨
Q.
IMF에서 미국 경제성장률을 0.6% 올린 2.7%로 예상했던데 이는 금리인하에 영향을 줄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 경제성장률을 높게 잡을수록 경제가 침체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금리인하 가능성은 낮아질 수 밖에 없어요
주식·가상화폐
2024년 4월 16일 작성 됨
Q.
달러의 강세와 금값은 반비례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달러의 강세와 금가격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반비례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맞아요. 다만 현재의 상황은 국제정세에 대한 불안감과 국제무역의 위축으로 인한 금 가격의 상승이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미국이 기준금리인상을 하게 되면서 달러 유동성이 줄어들면서 달러의 가치가 상승하게 되면서 둘의 상관관계가 무너지고 두 자산 모두 함께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에요
경제동향
2024년 4월 16일 작성 됨
Q.
경제를 판단할 때 실질소득이 명목소득보다 더 중요한 위치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실질소득이라고 하는 것은 인플레이션율을 차감한 것이다 보니 명목소득보다 실질적으로 더 중요한 위치라고 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서 300만원에서 390만원으로 급여가 30% 인상되었지만 만약 인플레이션율이 100% 상승하였다면 실제 급여인상에도 불구하고 삶의 질은 더 나빠지게 되는 것이에요
대출
2024년 4월 16일 작성 됨
Q.
돈을 모으고 싶은데 어떡해 돈을 모으면 잘모으나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돈을 모으시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소비를 줄이는 것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가장 먼저 가계부를 작성하셔서 소비지출의 현황을 파악하시고 여기서 고정비용과 변동비용을 분류하신 후에 변동비용지출 통장을 별도로 만드셔서 최소한의 금액만 남겨두시고 모두 저축을 하시고 생활하시는 습관을 들이시면 저축 습관을 길러나갈 수 있어요
주식·가상화폐
2024년 4월 16일 작성 됨
Q.
소수점 주식의 의결권은 누가 행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수점 주식의 경우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서 한국예탁결제원이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어요
경제동향
2024년 4월 16일 작성 됨
Q.
미국의 급성장 배경과 세계 최강국이 된 이유?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이 빠르게 성장을 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세계 1차, 2차 대전이었는데 미국은 병기의 생산공장 역할을 하면서 돈을 모았고 이 때 전 세계 금의 70%이상을 보유하면서 금 본위제도를 시행하고 이를 통해 달러를 기축통화로 만들었던 것이 미국의 성장 배경이라고 할 수 있어요
경제동향
2024년 4월 16일 작성 됨
Q.
이란 이스라엘 전쟁이 24년 상반기 경제에 미칠 영향은?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이란과 이스라엘의 전쟁에서만 국한되는 경우라면 큰 영향은 없을 수 있겠지만 다른 중동 국가로 확전되는 경우에는 원유 생산 및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게 되면서 원유 가격이 빠르게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요. 그럼 전 세계 인플레이션율이 다시금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한 금리인상 가능성이 다시금 재기되면서 우리나라의 부채리스크는 더욱 심각한 상황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요
경제동향
2024년 4월 16일 작성 됨
Q.
중동 리스크가 엔화가치를 떨어뜨리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중동리스크가 엔화의 가치를 하락시키는 이유는 중동전쟁으로 인해서 유가가 상승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서 전 세계의 인플레이션율이 다시금 상승하게 되자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이 다시 금리인상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거나 혹은 금리인하 가능성이 낮아졌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엔화의 가치가 다시금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것이에요
주식·가상화폐
2024년 4월 16일 작성 됨
Q.
공매도는 어떤 방식으로 돈을 버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공매도의 경우에는 높은 가격에 주식을 빌려서 주식을 매도하고 난 후에 주식의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주식을 매수해서 빌렸던 주식을 갚아서 차익을 얻는 방식이에요. 예를 들어서 100만원에 100주를 빌려서 주식을 매도하게 되면 1억원의 현금을 가지게 되고 주식이 50만원으로 하락하게 되면 다시 100주를 5천만원에 매입하고 100주를 갚게 되면 나머지 차액인 5천만원의 수익을 얻게 되는 것이에요
경제동향
2024년 4월 16일 작성 됨
Q.
우리나의 경제 gdp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GDP는 현재 세계 13위에 해당하고 있으며, GDP(Gross Domestic Product)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명목GDP를 가지고 말하는데, 명목GDP는 한 국가 내에서 정부, 기업, 가계 등의 모든 경제 경제주체가 일정한 기간동안 생산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로 평가하여 합산하여 계산하게 되요
431
432
433
434
4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