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득 전문가
khpt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2년 12월 15일 작성 됨
Q.
가습기 원리가 진동자를 이용해..
안녕하세요.말씀하신대로 물이 쪼개지는 것은 아닙니다.진동으로 물 표면의 물 입자들이 튕겨져 나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튕겨져 나온 물을 작은 팬을 이용하여 공기중으로 뿌리는 방식으로성분은 물입니다.
2022년 12월 15일 작성 됨
Q.
초는 고체, 액체, 기체 중에서 어떤 상태의 물질이 타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기체 상태의 연료에 의해 불꽃이 생기는 방식입니다.양초는 주 원료가 파라핀으로 녹는점이 50도 쯤 됩니다.처음 초에 성냥, 라이터 불 등을 심지에 갖다대면 파라핀이 녹고 심지를 타고 올라갑니다.(모세관현상)그 다음 불에 의해 기화되고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불꽃을 유지합니다.
2022년 12월 13일 작성 됨
Q.
태양 흑점이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태양의 흑점은 주위가 더 밝아 우리눈에 까맣게 보이는 것입니다.태양은 핵융합을 하여 열과 빛을 생성합니다.태양의 모든 지역에서 일정하게 반응하기는 힘드므로상대적으로 반응이 덜 일어나는 지역은 열과 빛이 그만큼 적게 생성하고그로인해 까맣게 보일 뿐입니다.
2022년 12월 13일 작성 됨
Q.
새끼 발가락은 사용하지 않아서 퇴화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새끼발가락은 우리 몸의 균형을 잡는데 쓰이고 있습니다.용불용설의 예를 들자면귀를 움직이는 근육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주위 사람들을 보면 귀를 움직일 수 있는 사람, 움직일 수 없는 사람이 있습니다.귀를 움직인다는 것은 소리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음원을 특정하고 생존에 유리하게 발달되어왔는데인류가 야행성에서 주행성으로 바뀌면서 청각에서 시각으로 주감각이 바뀌게 되어귀를 움직이는 근육이 퇴화되고 있는게 용불용설의 예로 볼 수 있습니다.
2022년 12월 13일 작성 됨
Q.
돌은 물에 가라 앉는데 얼음은 왜 물 위에 뜨는 걸까요?
안녕하세요.물에 뜨고 안뜨고는 무게가 아닌 밀도의 차이가 결정합니다.물 위에 기름이 뜨는 것도 기름의 밀도가 물보다 작기 때문인데요.돌은 물보다 밀도가 높고 얼음은 물보다 밀도가 작기 때문에 뜹니다.
96
97
98
99
1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