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득 전문가
khpt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9월 25일 작성 됨
Q.
밝은 빛을 보면 잔상이 남는 이유?
안녕하세요.우리 눈 안의 시세포가 빛을 받게 되면 전기자극을 뇌로 보내어 사물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시세포가 자극 받게 되면 회복하는데 시간이 걸립니다.밝은 빛을 오래 쳐다보면 시세포가 자극받은 상태를 유지하고 회복하는데에 시간이 더 오래걸립니다.따라서 회복하는 동안 잔상이 보입니다.
기계공학
2022년 9월 25일 작성 됨
Q.
병원에서 혈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팔에 감아서 사용하는 혈압계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1. 팔에 감아 펌핑을 하여 동맥의 흐름을 막습니다.2. 서서히 공기를 빼주어 혈압보다 낮아질 때 다시 피가통하기 시작합니다.3. 그때의 혈압을 측정합니다.
생물·생명
2022년 9월 25일 작성 됨
Q.
피가 나고 딱쟁이는 어떻게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일반적으로는 피딱지가 앉았다 라고 쓰는 것으로 알굈습니다.혈액 내 혈소판이라는 성분이 있습니다.이 혈소판은 공기와 만나면 응고되는 특징이있습니다.피부에 상처가 나 피가 나면 혈소판이 공기와 닿게 되고 피과 함께 굳으면서 피딱지를 형성하여 추가 출혈을 막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9월 7일 작성 됨
Q.
인간이 중력을 무시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모든 물체는 중력을 벗어날 수 없습니다.질량을 가진 모든 물체는 민유인력에 법칙에 의해 서로 잡아당깁니다.마찬가지로 중력또한 만유인력의 힘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력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화학
2022년 9월 7일 작성 됨
Q.
불의 상태는 기체.액체.고체가 아닌데 에너지가 존재합니다. 불과 같이 육안으로 보이는 에너지원이 더 있을까요?
안녕하세요.우리가 볼 수 있다는 것은 빛이 우리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입니다.고체, 액체는 태양빛이 물체에 닿아 반사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와서 시신경을 자극하기 때문에 우리 눈으로 볼 수 있죠.불은 말씀하신대로 에너지(빛)이기 때문에 우리 눈에 보입니다.질문의 요지인 육안으로 보이는 에너지는 빛 밖에 없습니다.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136
137
138
139
1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