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득 전문가
khpt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2년 7월 18일 작성 됨
Q.
액체는 기화할 때 열을 방출하나요?
안녕하세요.물이 증발할 때 주위의 열을 빼앗아 가기 때문에 (열 흡수) 주위의 온도가 시원해집니다.반대로 추운 지방에서 이글루 안에 물을 뿌리면 물이 얼면서 (열을 방출) 실내가 좀 더 따뜻해지기도 합니다.
기계공학
2022년 7월 18일 작성 됨
Q.
자동문 센서는 어떤 방식으로 사람을 인식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일반적인 센서는 보통 레이저를 사용합니다.자동문 같은 경우 문 위에 센서가 달려있는데 땅으로 레이저를 발사하여 센서로 다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합니다.만약 사람이나 물체가 있을 경우 레이저의 왕복거리가 더 짧아져 빛이 센서로 다시 돌아오는 시간이 짧아집니다.그러면 사람이나 물체가 있다고 판단하여 문이 열리게 됩니다.
토목공학
2022년 7월 16일 작성 됨
Q.
걸어가다가 거미줄에 걸리는 느낌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거미줄이 맞습니다.거미는 스파이더맨 처럼 원하는 방향으로 거미줄을 쏘지는 못하지만여러줄을 동시에 사출하여 바람에 날려 근처로 이동하기도 합니다.질문자분께서 걸린 거미줄이 거미가 바람에 날려보낸 거미줄입니다.
전기·전자
2022년 7월 12일 작성 됨
Q.
집에서 만든 태양광으로 가정집 전기세 0원으로 만들기
안녕하세요.법적으로 가정집 한 채 당 사용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의 용량이 정해져 있습니다.제한 이상의 용량을 설치할 시 불법입니다.정확한 용량은 검색해보시거나 생활꿀팁 / 법률 카테고리로 질문을 올리셔야 할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7월 12일 작성 됨
Q.
차가운 물을 담은 컵에 물방울이 맺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공기 중에 기체 상태인 물이 상대적으로 차가운 컵 표면에서 액화되기 때문입니다.여름철 차에서 에어컨을 틀면 창문이 뿌옇게 보이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7월 12일 작성 됨
Q.
하늘이 파란 이유와 구름이 하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빛의 산란 때문입니다.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영역의 빛을 가시광선이라고 해요. 빨주노초파남보 범위가 이에 해당됩니다.1. 하늘이 파란 이유태양에서 오는 빛이 공기 중의 기체 분자들에 부딪혀 이리저리 튑니다. 이걸 산란이라고 하는데요.파장이 짧은 파란색이 산란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여요.일출, 일몰 때는 파장이 긴 붉은 계통의 빛이 눈에 더 많이 들어오기 때문에 붉은 노을이 보입니다.2. 구름이 하얀이유공기 분자와 달리 물은 모든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하얗게 보여요.
기계공학
2022년 7월 8일 작성 됨
Q.
4-20ma 출력나오는 압력계 출력값 확인방법?
안녕하세요.4~20mA 의 출력 값이 나온다면 트랜스미터나 인디케이터가 달린 것 같은데요.plc나 pannel에 연결이 되있지 않나요?hmi 혹은 mmi 에서 확인이 될 것 같습니다.
전기·전자
2022년 7월 6일 작성 됨
Q.
사람이 번개에 맞을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전기는 저항이 높은 곳과 저항이 낮은 곳 중 저항이 낮은 곳으로 흐릅니다.우리 몸의 70%는 물로 이루어져 있고 공기보다 전기가 잘 통해요.충분히 번개에 맞을만합니다. (애초에 신경계가 전기신호로 작동합니다.)같이 이유로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근육량이 많기 때문에(수분도 더 많음) 번개에 맞을 확률이 더 높다고 하네요.
화학
2022년 7월 6일 작성 됨
Q.
뜨거운 그릇에 씌운 랩은 움푹 들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랩을 씌운 상태에는 내부 공기가 외부 공기보다 온도가 높은 상태입니다.외부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내부 공기가 시간이 지나며 식으면 질문자님 말씀대로 온도에 따라 부피가 줄어들게 되죠.만약 랩을 씌우자마자 용기 내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가 100이라고 했을 때 줄어든 온도만큼의 부피가 작아질 것 입니다.그러므로 랩이 움푹 들어가게 되는거죠.
토목공학
2022년 7월 6일 작성 됨
Q.
이런 경우 상대성 원리가 적용됩니까?
안녕하세요.화학공학이 전공이라 디테일 하게 설명을 드리진 못하겠으나, 질문의 요지와 상대성이론과는 큰 연관이 있는 것 같진 않네요.질문자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은 관성과 연관이 있습니다.물체가 운동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을 관성이라고 하는데요.차량을 예로들면 멈춰있던 차가 출발할 때 우리 몸은 정지상태를 유지하려고 하기때문에 몸이 뒤로 쏠리게 됩니다.그 상태로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차량과 몸이 같이 운동상태로 바뀌게 되는거죠.선박에 타고 있을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선박과 함께 운동상태에 있을 때 수직방향으로 점프를 한다면우리 몸은 선박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운동상태를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선박 진행방향으로 포물선을 그리게 됩니다.
76
77
78
79
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