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피로 파괴(Fatigue Failure)와 크리프(Creep)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기계 부품 설계 시 이 두 가지 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전략을
안녕하세요, 생산공장설비관리직을 맡고 있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피로 파괴와 크리프의 차이점에 대해서 질문해주셨군요. 사실 두 가지는 개념은 변형이 되는 부분에서 비슷한 개념이지만 조금은 다른데요. 피로 파괴의 경우는 재료에 반복적인 변형이 가해질 때 발생한다면, 크리프는 일정한 하중이 장시간 동안 가해질 때 발생하는 변형이라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 두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미세 균열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표면 처리나 부품에 가해지는 원인인 하중을 줄여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유체역학에서 레이놀즈 수가 의미하는 바와, 이를 통해 유체 흐름의 성질(층류와 난류)을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생산공장설비관리직을 맡고 있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유체역학의 레이놀즈 수는 무차원 수로, 유체의 관성력과 점성력의 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층류와 난류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레이놀즈 수가 2000 이하인지, 4000 이상인지를 보고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간단히 레이놀즈 수를 구하는 식은 관내의 평균유속(v) * 관의 내경(m) / 유체의 동점성계수(m^2/s) 입니다.답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용접을 하고 싶습니다. 유의사항이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생산공장설비관리직을 맡고 있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용접을 하시기 전 용접면(마스크) 용접용 장갑 불티 비산방지포를 준비합니다. 그 후 용접기를 가져와서 접지를 먼저 해준 상태에서 출력을 올린 후 일반 모재에 가접을 실시합니다. 가접 시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용접이 필요한 곳에 용접면을 바라보고 용접을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유의사항으로는 작업 시 용접면을 반드시 착용하여야 하며, 불티가 주변에 튀었을 때 화재의 위험이 있는 장소라면 반드시 불티 비산방지포를 준비해야하는 정도입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좋아요 버튼(👍)"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기계가공시 적정 속도를 어떻게 알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생산공장설비관리직을 맡고 있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공구의 회전속도 계산식은 대표적으로 하기와 같습니다.회전 속도를 기본적으로 RPM이라고 하구요, 분당 속도 값을 m/min, 공구 직경을 D(mm)라고 가정해봅시다.RPM을 구하는 계산식은 분당 속도값 / 공구 직경 * (3.14) 입니다.예를 들어서 공구 직경이 20mm이고, 절삭 속도가 50m/min이라고 한다면, 50000 / 20 * 3.14 = 796 RPM 이 되겠네요.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좋아요 버튼(👍)"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