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플랜트 엔지니어 장철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플랜트 엔지니어 장철연 전문가입니다.

장철연 전문가
한화오션 전기계장팀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달팽이를 보면 대부분 뒤에 동그랗게 집 같은것을 달고 다니는데요 이런 집은 달팽이가 성장해가면서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달팽이중에 등껍질이 있는 종은 태어나는 순간 알껍질을 먹는 것을 시작으로 알에서 나옵니다 그 알껍질 성분을 합성해서 성장하면서 등껍질을 형성하지요 그 기본베이스에 점액질을 쌓아 올려 단단해지면서 달팽이가 성장함에 따라 집의 크기를 키워나갑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릴게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수소자동차가의 연료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자동차의 궁극적인 목표는 물을 원료로 하였을때 물분자의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아직까지는 전기분해의 힘을 빌어서 분해된 수소를 차에 직접 충전하는 방식입니다.자연채취는 사실 연료로 쓰기에는 양도 적을 뿐더러 속도가 느려서 현재는 대형공장의 부생수소로 생산을 하거나 수소만을 타겟으로하여 촉매분해를 하는 방법을 많이 씁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멀티선으로만으로 연결해서 서울에서 부산까지 연결한다면 전기를 쓸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멀티선을 기존 제품의 멀티탭을 말씀하시면 발상은 좋은시나 불가능하다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220v로 일정거리를 넘어가면 전압이 부족하여 기기작동에 필요한 파워를 못얻게 됩니다. 그렇다고 승압을 하자니 멀티선의 전선의 코어가(굵기)가 얇아서 사실상 불가능하지요하여 먼곳에 송전을 할때는 고압으로 송전 후 지역 변전소에서 변전을 한다음에 가정으로 송출하여 사용하게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릴게요!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3D프린터로 지금 어디까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현재 CNC까지 쓰여 질 정도로 엄청난 발전을 했습니다. 카본소재로 제작하는 물질같은 경우는 어지간하면 전부 뽑아낼 수 있지요. 아직 금속가공 같은 경우에는 캐스팅이나 포지드가 제조단가가 훨씬 경제적이기에 아직은 미흡하지만 정밀 엔지니어링 같은 항공분야 같은 경우 필요한 소량의 부품을 생산하는데 많이 사용합니다. 3D프린터로 집을 짓는 기업도 존재하며, 배양육을 3D프린터로 적층인쇄하여 소고기 패티, 돼지고기 패티도 생산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실용화가 미진한 이유는 단가문제)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좋아요 부탁드릴게요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각종 범죄현장에서 단서가 될만한 것이라고는 담배꽁초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범죄현장의DNA 보관을 하게되는데 범행이 초범으로 끊나는 경우가 거의 드물다고 합니다 해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이되면 다른 범행 현장시 덜미가 잡히게 되는 것 이지요 이런 이유로 몇십년만에 잡힌 케이스도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길거리에서 봤는데 이게 뭐죠? 어떤 용도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흔들리는 사진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만 안타깝게도 일론머스크의 스페이스x는 국내에서 볼수가 없습니다. 미국의 전략적 자산이기 때문에 모든발사는 플로리다의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합니다 때문에 아마 같은이름을 쓰는 행사이지 않을까 추측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물부족을 해결할수 있는방법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인도주의적으로 자원을 나눈다면 전세계 인원들에게 충분히 먹고 마시는데는 지장이 없을정도로 식음료를 생산하고있습니다. 곡물을 아프리카 제 3세계에 나누지않고 그 수백배를 먹는 소에게 줘서 소고기를 생산하지요물 또한 같은 맥락입니다. 취정수장 시설이나 담수화 기술로 충분히 담수를 얻을 수 있지만 비효율적자본이 들어가기 때문에 어쩔수없이 투자를 안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그럼 혹시 바닷속에 있는 해조류(예를 들면 미역..?) 들도 광합성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녹색을 띄고 있는 해조류 또한 광합성을 하면 이파리또한 육상의 식물처럼 더많은 일조량 을 얻기위해 넓어집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생수는 계속 뽑아내는데 안없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지하수는 보통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어 물이 모이게 되어 수맥이 형성되면서 그부분을 채수합니다.강수량 대비 채수량이 많게되면 결국 물은 질문자님 말씀대로 고갈될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중력이 없는곳에서 촛불의 형태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방향으로 뻗어 나가기 때문에 심지를 중심으로 동그랗게 모양이 나옵니다! 촛불이 타면서 기체가 위 방향으로 날아가면서 우리가 아는 촛불모양이 되는데중력이 없는 경우 사방으로 뻗어 나가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969798991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