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플랜트 엔지니어 장철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플랜트 엔지니어 장철연 전문가입니다.

장철연 전문가
한화오션 전기계장팀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최근 메모리반도체에서 TSV로 단을 높게 쌓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TSV는 웨이퍼를 관통하는 홀을 형성한 후, 홀 내부에 전도성 물질을 충전시켜 칩 내부에 직접적인 전기적 연결 통로를 확보하는 기술입니다 칩 내부에 직접 연결 통로가 확보되기 때문에 다수의 칩을 수직으로 적층할 때 와이어 본딩을 이용한 3차원 패키징에서의 I/O 수의 제한 단락 접촉 불량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게 제일커요추가적인 공간을 요구하지 않아 패키지 크기 소형화 가능합니다.컴퓨터 본체로 생각하시면 빵판에 직접 꽂는것 처럼(물론 접지때문에 현실은 안됩니다 예시) 다각도의 소켓이 생긴다고 생각하시면되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전세계적으로 현재 지구의 사막화가 일어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사막화가 전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건 사실인 부분입니다 우리나라도 전체적으로 내륙의 수위가 내려간게 사실이지요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가 진행될 수록 기존 사막지형이 더욱 커져나가면서 건조함이 사막화를 부르는 악순환이 계속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동 킥보드는 어떤 원리로 운영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기지국이 따로 필요없습니다. 처음에 정류장에 전동킥보드를 가져다 놓으면서 세팅되는 GPS기준과 이동시 QR로 '내가 위치를 재공해주겠다' 동의 했기 때문에 결제 로그인과 동시에 GPS기준은 이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기존 통신사 망을 쓰기 때문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물은 왜 얼어서 얼음이 되면 부피가 커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은 분자의 결합각이 120도 이상의 극성 분자 이기 때문입니다. 결합각이 커질 수록 L->S 의 상뱐화 때 자유롭게 간섭 안되는 액체 기체 상태보다 고체가 되면서 결합한 물분자가 입방당 부피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북극과 남극 및 다른 곳의 빙하가 녹는다면 해수면은 얼마나 상승할까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전세계 자료는 없지만 국내기준으로 해수면 상승 데이터가 있어서 가져왔습니다.아래 내용을 참고해 보셔요!출처 : MyWater - K-water와 함께하는 물정보포털 --21세기 한반도 기후 변화 영향과 전망https://www.water.or.kr/disaster/weather/weather03_01.do?seq=313&p_group_seq=25&menu_mode=3자료에 따르면, 2100년에 해수면이 ‘0.59m’ 상승할 경우 여의도 면적의 11배 정도가 물에 잠기고, 최악의 경우 100년 후에 한반도 해수면이 평균 1미터 상승하는 경우 여의도 면적의 32배가 침수 된다고 한다.기후가 어떻게 변할 지, 남극과 북극의 빙하가 얼마나 녹을지 예측할 수 없고, 빙하가 녹는 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있기 때문에, 해수면이 상승하는 높이나 속도가 예상과 달리 더 빠를 수도 있지만, 지금까지의 추정으로는 지금 사는 세대에 심각한 위험이 될 정도는 아니다.다만, 작년에 이탈리아 베네치아에 최악의 홍수가 발생하여 베네치아의 75%가 물에 잠기는 일이 있었고, 올해도 홍수가 발생하여 잠정 피해액만 1조 원대에 달한다고 한다.해수면이 상승하면 비가 많이 와서 강물이 조금만 불어나도 홍수가 발생하고, 달의 인력에 의해 만조 시에 해수면이 상승한 상태에서 비가 오면 피해가 심각해질 수도 있다.첫 링크에서 해수면 상승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수면 상승 높이를 ‘13m’로 올려 봤더니 한반도의 대다수 주요 도시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침수되어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100m’ 상승할 경우, 현재 세계 대부분의 도시는 물에 잠기기 때문에, 그 이전에 도시 이전을 하지 않는다면 큰 문제가 될 수도 있다.다만, 이 시뮬레이션은 아마도 단순히 고도를 기준으로 만든 것 같은데, 도시가 강과 인접해 있는 경우, 바다로 부터 들어오는 물이 강을 통해 유입되기 때문에 예상과 다른 모양으로 침수될 수 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계는 전체 우주의 몇퍼센트를 차지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란 엄청 드넓고 크죠 하여 일정 범위를 정해서 말씀드리면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930억 광년이고태양계가 우리은하를 한번 공전하는데 2억 5천만년이 걸리니 관측가능한 범위내에서는 태양계만 약 만분의1정도 되지않을까 싶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비온 뒤 갑자기 날씨가 추워지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 내리면 대기 중의 먼지, 스모그, 미세먼지 등이 비와 함께 지면으로 내려가게 되어 대기 중의 불순물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비가 그치고 난 뒤에는 대기 중의 불순물이 줄어들어서 더 맑은 하늘이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비가 내리면 땅이 축축해져서 기온이 떨어지게 되어서 날씨가 시원해지는 것도 그 이유 중 하나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중력을 활용한 아이템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을 이용한 물건들을 찾으셨는데 사실 지구상에서 쓰는 대부분은 물건들이 중력의 영향을 받기 떄문에 중력을 극대화해서 사용하는 물건들만 말씀드리겠습니다.낙차를 이용한 수력발전소, 추의 무게와 모터를 이용한 엘레베이터 및 모든 크레인 류, 가속으로 인한 중력발생을 이용한 비행훈련 장치 등 찾아보시면 생각보다 많은 곳에 있을 겁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다에 번개가 치면 물고기들이 죽지 않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번개는 최대한 표면으로 흐르려는 성질이 있는데 해수면에 번개가 친다면 (심지어 매우 드뭄)번개가 물고기가 있는 수위에 도달하기 전에 매우 드넓은 바다의 해수면으로 다 퍼져버리기 때문에 물고기가 있는 곳 까지는 거의 도달하지 않습니다. 낙뢰가 심할때 자동차 안으로 대피하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보시면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겨울에는 태양에서 지구가 가장 가깝다고 하는데 겨울이 제일 추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계절을 결정하는 것은 태양과 지구의 거리가 아닌 태양이 지구에 쬐어지는 각도가 계절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여 자전축에 의해 북반구에 수직으로 일조되는 때가 여름, 사선으로 일조되는 때가 겨울로 보시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