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플랜트 엔지니어 장철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플랜트 엔지니어 장철연 전문가입니다.
장철연 전문가
한화오션 전기계장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공학
2024년 8월 9일 작성 됨
Q.
CCU라는 기술로 포집한 탄소를 어떻게 활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다양한 위치에서 CCUS기술을 사용되고있습니다. 칼텍스나 엘화 쪽은 CCS를 sk쪽은 CCU에 힘을 주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국내 여건상 스토리지는 어렵다보니 유틸리티로 사용되고 있는데 실제 캡쳐된 카본의 양이 적어 보통 부생라인으로 카본을 타 프로덕트 공정에 사용하거나 24년도 기준 제일 많이 사용하는 거래처는 쿠팡이나 마켓컬리같은 산업플랜트에 액화로 트럭스케일 통해 많이 납품합니다.아직 국내는 정압소를 쓸정도로 CCU공정 규모가 크지않습니다
화학공학
2024년 8월 9일 작성 됨
Q.
스마트 팩토리에서 화학 공정 최적화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화공 공장을 지어질때는 타당성 평가부터 당해년도까지의 평균전망치로 케파를 측정해서 짓게됩니다. 그 이후 부터는 그 공장의 프로덕트를 해당 공장의 랩실에서 지속적으로 공정개선을 하게 되는데요 보통 각 프로세스에 꽂혀잇거나 직접 메뉴얼로 샘플링을해서 메인터너스를 합니다. 공장이라는게 정해진 값을 넣는다고 딱 그값이 나오는 게 아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질문자께서 요구하시는 공정최적화가 이루어집니다
화학공학
2024년 8월 9일 작성 됨
Q.
감이 연화(홍시)가 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낭만의 19세기의 벨기에 과학자가 사진 인화지를 만들기 위해 처음 합성한것이 인공적으로 만든 최초의 플라스틱입니다. 이 기술은 훗날 코닥의 전신이됩니다
화학공학
2024년 8월 9일 작성 됨
Q.
플라스틱이 상용화되기 시작한 게 언제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낭만의 19세기의 벨기에 과학자가 사진 인화지를 만들기 위해 처음 합성한것이 인공적으로 만든 최초의 플라스틱입니다. 이 기술은 훗날 코닥의 전신이됩니다
화학공학
2024년 8월 1일 작성 됨
Q.
바이오 매스 기반 플라스틱하고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무슨 차이가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생분해성이라고 꼭 바이오매스로 제품을 만들지는 않습니다. 화학성분으로 생 분해잘되게 만드는것 또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포함됩니다
화학공학
2024년 7월 28일 작성 됨
Q.
요즘 생화학 무기가 많다고 하는데, 어떤 무기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예로부터 많이 쓰는 겨자가스와 포스겐이 대표적인 화학탄으로 많이사용됬고 탄저균과 흑사병이 생물학적무기로 많이사용되었습니다
화학공학
2024년 7월 28일 작성 됨
Q.
비스페놀a가 있는 영수증 bpa-free말고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어떤 실험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대부분의 플라스틱에 열을 가열하면 검출됩니다.Bpa free로 현재 영수증이 많이 나오지만 이전 bpa영수증이라고 하여도 영유아 임산부에게 안좋지 일반 성인에게는 극미량이라 해가되지 않습니다
화학공학
2024년 7월 19일 작성 됨
Q.
식물 기반 원료를 사용하여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화학공학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화학과와 화학공학과로서의 개념을 아직 이해를 못하고 계신듯 합니다. 화학공학과는 물리화학적 물질유동 공정을 프로세스 엔지니어링 하는 학문입니다. 하여 반도체 제약 선박 정유등 각 분야에서 공정을 담당하는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해당 플라스틱 개발은 관련 연구를 통해서, 생산은 화공과 인원이 해당 정제과정을 공정화 하는것에 의의가 있습니다.
화학공학
2024년 7월 19일 작성 됨
Q.
금은방에서 말하는 티타늄과 백금은 다른 광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질문자께서 어떻게 이해하고 계시는지는 모르겠지만 금과 은의 차이정도로 아예 다른 합금입니다. 티타늄은 내열 강도를 위한 합금으로백금은 촉매로 주로 사용됩니다
화학공학
2024년 7월 17일 작성 됨
Q.
고체 폐기물을 연료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화학공학 기술은 어떻게 활용될까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고체 폐기물을 연료로 전환하는 여러가지 기술이 있지만 크게 두가지로 갈립니다오폐수 및 매립을 통해 지열 및 가스 채취플라스틱같은 고 폴리머를 크랙킹 후 재 가공
86
87
88
89
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