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양의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양의주 전문가입니다.

양의주 전문가
명지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왜 장독대가 과학적이라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양의주 과학전문가입니다.장독대는 공기는 통과하지만 물이나 다른것들은 통과하지못하는 스펀지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발효식품들이 산소는 원활히 받으며 발효를 돕게되죠. 흔히 아는 김치. 젓갈. 식초. 막걸리 등이 장독대를 통해 빛을 보게 된 것들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아폴로11호를 비롯해서 인류는 달에 몇 번을 갔었나요?
안녕하세요. 양의주 과학전문가입니다.아폴로17호. 미국이 처음이자 마지막입니다.현재는 충분한 기술로 가능하지만 비용을 들여가며 갈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고,무인으로도 충분한 조사가 가능하니 사람까지 태울 필요가 없는것이죠.
물리
물리 이미지
Q.  새벽에 안개가 만들어지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양의주 과학전문가입니다.안개는 대기 중의 수증이가 응결하여 지표 가까이에 작은 물방울이 뜬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가시거리가 감소하여 시야 확보가 잘 안되며, 가끔 약하게 빗방울이 흩날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구름과 안개의 구성 요소 및 생성 원리는 동일합니다. 그래서 지표면에 붙어 있는 구름을 안개라고 부르죠. 안개처럼 낮게 깔리는 구름인 층운도 10종 운형중에 분류되고 있습니다질문주신 내용으로 어떤 안개인지 말씀드리자면 복사안개라고 볼 수 있릅니다.이는 낮동안 가열되었던 열들이 밤에 다시 우주밖으로 빠져나가는데, 이렇게 복사냉각이 이루어지다가 지표면 온도가 이슬점온도 아래로 냉각되면서 응결되어 발생하는 안개가 바로 복사안개인 것입니다. 대부분 분지지역이나 도시화가 안된 농촌에서 자주 발생하고, 안개 자체는 그렇게 높지 않은데 지상에서는 매우 짙어서 마치 비가 올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만, 복사안개 자체가 맑은 날에 생기는 원리로 낮에 햇빛이 내리쬐서 지표면 온도가 높아지면 소산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피사의 사탑이 기울어진 이유와 버틸수 있는 원리
안녕하세요. 양의주 과학전문가입니다.피사의탑은 건축 결함을 볼 수 있는 대표적 예시입니다. 토대가 불완전하게 놓였고, 탑이 서 있는 땅이 특히 불안정한 지면이기 때문에 탑은 건설 초기 단계에서부터 기울어지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탑의 지반은 광물 침전물과 점토가 섞여 있는 땅으로, 아래쪽으로는 지하수가 흐르고 있어 기울어지게 되었죠. 현재는 기초를 강철 케이블로 묶어 두고 콘크리트로 보보강습니다. 그리고 탑이 기울어지는 반대편에 800톤의 납덩어리를 매달았어요. 11년 동안 공사를 하여 사탑은 조금씩 바로 세워져 19세기 초 모양과 비슷해졌습니다. 그렇기에 쓰러지지않고 유지될 수 있는 것이지요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벼락이 칠경우 뾰족한 곳에 떨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양의주 과학전문가입니다.뇌운이 피뢰침쪽에 접근하면 대지에 양전하가 모이고, 피뢰침도 이 양전하가 유도됩니다. 마찬가지로 정전기 유도 현상의 일종입니다.뇌운에 전하가 점점 쌓이면, 피뢰침으로 불빛과 함께 방전이 발생합니다.하지만 피뢰침이 모든 뇌운을 막아주진 못합니다. 보호 가능한 범위가 생각보다는 좁거든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명왕성은 왜 행성 자격을 박탈했나요?
안녕하세요. 양의주 과학전문가입니다.명왕성이 퇴출된 이유는1. 크기가 작아서(달보다도 작음이 밝혀짐)2. 궤도가 이상해서3. 카이퍼밸트에서 명왕성보다 더 큰 행성이 발견됨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또한 명왕성보다 큰 행성의 발견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죠. 명완성보다 큰 행성들이 잘견되면 앞으로 계속 추가될 가능성이 있으니까요.그래서 행성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바뀌었습니다. 태양 주위를 돌면서, 충분히 큰 질량을 가져서 자체 중력 때문에 둥글며, 자신의 궤도 영역에서 소위 '짱'으로 주변의 다른 천체를 물리친 천체를 행성이라고 한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가스형 행성에는 모두 고리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양의주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계 내에 가스형 행성에는 목성, 토성, 천왕성 , 해왕성이 있고, 모두 고리를 가졌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성이나 달에서 산소를 생성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양의주 과학전문가입니다.산소를 만들어내는 기술은 개발되어있습니다!다만 우리가 숨을 쉬는데 부족함이 없으려면 대기중 20프로 정도를 산소로 채워야하는데...그 많은 양을 체우기엔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래서 우주복. 혹은 우주선 내부 정도만 산소를 채우는 것이죠.최근 화성에서 이산화탄소 -> 산소를 분리해내는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1시간 5.4g정도의 작은 양(1명이 10분 호흡)이기 때문에...아직 실험 단계라 볼 수 있습니다.먼 미래엔 점점 기술이 고도화 됨에 따라 화성에서도 충분한 양의 산소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기대가됩니더.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선의 굵기에 대한 문의 입니다.
안녕하세요. 양의주 과학전문가입니다.AWG는 피복을 제외한 내심(실제 전선)을 말합니다.AWG가 작을수록 굵음 내삼을 가진 두꺼운 케이블입니다. AWG가 작은 케이블이 안정적입니다.AWG16은 1.13mm2입니다.허용전류는 12~19A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이러스들이 변이를 일으킨다고 하는데 그 변이라는것은 생물학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양의주 과학전문가입니다.바이러스의 DNA 혹은 RNA의 염기서열이 바뀐것을 돌연변이라고 합니다.염기서열이 바뀜으로 기존과 다른 단백질 등이 만들어지는것입니다. 돌연변이의 결과로 전염성이 강해질 수도 있고, 약해질 수 도 있습니다. 약해진 놈들은 사라지는것이고 강해진 놈들이 새로운 주류 바이러스가 되는것이죠.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