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디플레이션은 경제에 어떤 악영향을 끼치나요?
안녕하세요. 류경민 경제전문가입니다.디플레이션은 물가가 떨어지는데 왜 소비자 입장에선 나쁜가? 를 논하려면, 소비자 심리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소비자 입장에서는 "오늘보다 내일이 더 싸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소비를 미루게 됩니다.당장은 싸게 살 수 있어서 좋지만,사람들이 소비를 미루면, 물건을 파는 기업의 매출이 감소하고, 그로 인해 생산 공장도 가동을 줄여야하고, 그곳에서 일하는 인부들도 몇몇 해고될 수 있고, 이는 경제 전반의 소득 감소를 일으키고, 소득 감소는 결국 소비를 더 줄이겠지요.챗바퀴 굴리는 듯한 구조입니다. 이렇게 계속 무한 반복되면 소비가 더더욱 줄고, 경제 발전 또한 역성장을 일으키는 그런 악영향이 발생할 수도 있죠.
Q. 광의유동성이라는 게 무슨 뜻인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류경민 경제전문가입니다.광의유동성은 M2라고도 불리고, 이는 가계/기업/금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꽤나 유동성 있는 돈"의 총량을 의미합니다. 유동성은 총 3개로 구분됩니다. M1, M2,M3로 나누는데, 지금 설명하고 있는 것은 M2죠. 광의유동성인 M2는 M1에 포함되는 '현금과 요구불예금'에 추가로, 정기예금 등 저축성 자금이 포함됩니다.이해하기 쉬우려면 M1, M2, M3 모두 알아야합니다.M1은 협의유동성 , 현금과 요구불예금M2는 광의유동성 , M1(현금과 요구불예금) + 정기예금 등 저축성 자금M3는 금융기관 유동성 M2(M1(현금과 요구불예금) + 정기예금 등 저축성 자금) + 금융채와 양도성예금증서 포함M3 안에 M2가 있고, M2 안에 M1이 있습니다. 먹고 먹히는 관계라고 보시면 되겠네요.숫자를 붙인건 단순히 포함한다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함입니다. 의미가 있는건 아니네요.협의, 광의, 금융기관이라는 명칭 또한 그러합니다. 포괄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있는겁니다.
Q. 금값이 계속 고공행진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민 경제전문가입니다.금은 소위 안전자산으로 불립니다. 현재 미국 관세 논란으로 전 세계가 흔들리고 있죠? 이러한 상황이 결국 금 가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입니다.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심화되면서,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45%까지 인상하였고, 중국도 이에 대응하여 미국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투자자들에게 불확실성을 안겨주어 금과 같은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또한 미국 연방준비제도, Fed에서는 금리 인하 기대감이 있습니다. Fed는 2025년 내 두 차례의 금리 인하를 시사하면서, 이제 나머지 한번의 예정된 금리 인하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금리가 줄어들면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상품, 가령 RP라던지, 예금 적금 이라던지 이러한 상품들의 매력도가 하락하게 됩니다. 이 상황 역시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상품으로의 자금 집중도가 분산되어 금 수요가 증가할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금 수요가 증가하면 당연히 금 값도 오르게 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