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권용욱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전문가입니다.
권용욱 전문가
현대자동차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3년 10월 6일 작성 됨
Q.
두 회사가 인수합병되면 인수하는 회사의 주식은 오르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보통 반대입니다. 인수하는 회사는 악재이고, 피인수 당하는 회사는 호재입니다. 물론 항상 맞지는 않습니다. 이유는 인수하는 회사는 그만큼 자본을 써야 하니 재무구조 악화로 인한 부정적으로 보여집니다. 만약 인수하는 회사가 엄청난 현금 보유를 한 회사면 악재는 아닙니다. 호재로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현금 보유도 없는데 무리하게 인수를 할 경우 상당한 악재로 봅니다.
경제동향
2023년 10월 6일 작성 됨
Q.
세계경제지표 회복이 더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단은 세계 경제 대국들의 경기 둔화로 보시면 됩니다. 세계의 공장이라는 중국도 비실대고 있으며 유럽도 경제 상황이 최악입니다. 유일하게 미국만 잘 버티고 있는데, 미국이 잘나가도 다른 국가들이 회복이 어려우면 전체적으로 어렵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10월 6일 작성 됨
Q.
주식을 처음 시작할 때 etf로 투자를 해 보라고 하던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ETF는 일종의 펀드 개념입니다. 펀드보다 쉽게 매수가 가능하고 바로 매도가 가능해서 선호하는 섹터라고 보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테마별로 나눠져 있으며 대략 20~30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어 변동성도 낮습니다. 물론 10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변동성이 큰 ETF 종목도 있습니다. 본인 성향에 따라 투자하시면 됩니다.
예금·적금
2023년 10월 6일 작성 됨
Q.
2금융권의 금리가 1금융권보다 높은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2금융권이 아무래도 1금융보다 재무구조가 안좋으니 그럴겁니다. 대출금리가 비싸니 이에 따른 예금 금리도 높은 개념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10월 6일 작성 됨
Q.
금리와 주식의 상관 관계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아니요 반비례 입니다. 금리는 주식 시장의 할인율 개념입니다. 금리가 높아지면 시장의 할인 요소가 되어 하락합니다. 반대로 금리가 낮아지면 유동성 확대로 인해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이 원할하여 상승합니다. 물론, 이 논리는 거의 일치안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냥 이론상의 논리임을 알려드립니다.
대출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직장인인데 2금융권빚이 1억5천인데 탕감받을수있는 방법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탕감 받을려면 개인 파산 밖에 없을겁니다. 하지만 직장 있으시고 갚을 능력이 있으시니 불가능 하실겁니다. 꾸준하게 갚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정치테마주란 어떤것을 이야기하는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그대로 테마주입니다. 실적이나 기업 자체의 펀더먼털과 전혀 상관없이 정치인 개인의 인맥이나 관련 정책 연관 종목들이 급등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주로 총선이나 대선 앞두고 정치 테마주는 기승입니다.
경제동향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최근 금리 인상이 다시 시작된것 같은데..언제 끝날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단은 물가 상승은 주춤하고 있지만, 아직 고물가 상태입니다. 올해까지는 인하 가능성은 상당히 낮습니다. 인하 하더라도 내년 하반기쯤 될거라 예상됩니다. 물론 이것도 경제 상황에 따라 바뀔수 있습니다.
경제동향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매크로 경제 상황이 매일매일 바뀌는 이유가?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정상입니다. 워낙 하루 사이에 많은 일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금리 상황은 변동성이 심합니다. 글로벌 시대에 따라 다른나라에서 발생되는 경제 문제가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예금·적금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가 큰데 금리인상 안하는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미 금리 차는 역대급으로 많이 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환율은 생각보다 안정적입니다. 금리 인상을 하지 않는 이유는 가계 부채가 제일 큽니다. 한국의 가계 부채는 OECD 국가중에 최상위권에 위치할 정도로 엄청나게 많습니다. 여기서 금리인상을 25bp 정도 하더라도 엄청난 부채 상승을 야기 시킬수 있습니다. 반면에 여기서 금리 인하를 한다면 부동산 대출 추가 증가로 가계 부채가 또 늘어나겠죠. 금리 인상을 해야 정답이나, 한국의 경제 현실상 어렵습니다.
101
102
103
104
1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