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권용욱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전문가입니다.
권용욱 전문가
현대자동차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5년 4월 18일 작성 됨
Q.
중국과 미국은 경제대국으로 인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경제 규모를 보셔야 합니다. 알고 계신 북유럽은 잘살긴 하지만,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극히 적습니다. 인구수가 워낙 적어서 큰 영향 자체가 없습니다. 다만 중국의 소비력과 생산력은 전세계 TOP 2위 입니다. 중국이 경기 침체에 진입하면 유가 가격에 바로 영향을 줄 정도로 전세계 산업 동향에 큰 영향을 줍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4월 18일 작성 됨
Q.
트럼프가 직접 일본, 중국과 관세 문제를 협상한다던데 현재 관세보다 낮게만 책정되어도 호재로 호재로 작용될 가능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 책정된 수치보다 낮으면 대형호재 입니다. 물론 높아지면 악재로 반영해서 충격이 있을것 같습니다. 다만, 핵심은 일본이나 한국 같은 우방국가와의 협상이 아니라 중국입니다. 기승전 중국과의 협상이 가장 중요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4월 1일 작성 됨
Q.
주식시장에서 반대매매는 언제 진행되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담보 부족으로 인한 반대매매는 장시작 하자마자 집행됩니다. 레버리지로 인한 투자는 초고위험 투자이니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
자산관리
2025년 3월 28일 작성 됨
Q.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 현상은 장기적인 경제 성장 및 사회 복지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엄청난 악영향을 미칩니다. 고령화로 인해 노인 복지 비용 증가로 정부의 부담이 커집니다. 그리고 저출산으로 인해 청년인구 부족으로 세금 낼수 있는 인구가 줄어듭니다. 즉, 세입은 줄어들고 세출은 증가해지는 현상으로 국가 경제 장기 침체가 발생 가능합니다. 정책적인 대안은 딱히 없습니다. 정년 연장 같이 최대한 오래 일하게 하는 방안이 있긴 하지만, 해당 정책은 기업의 인건비 부담으로 기업 성장의 저해하는 요인이 됩니다.
대출
2025년 3월 28일 작성 됨
Q.
대출을 받을 때 신용 등급이 미치는 영향과 이를 관리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신용등급이 낮으면 1금융권에서 대출을 받기 어렵습니다. 신용등급은 최대한 높게 유지하는게 좋습니다.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은 신용점수는 단기간에 올리긴 어렵고, 꾸준하게 올릴수 있습니다. 카드 대금 미납 안되거나 카드론 미사용 등 꾸준하게 관리하시면 높은 점수 받을수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3월 28일 작성 됨
Q.
트럼프의 관세 폭탄과 공매도 재개 등으로 한국 증시는 어려워진 상황인데 극복할 수 있을 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쉽지 않을것 같습니다. 공매도 재개는 호재보다는 악재가 더 많을것으로 보여지므로 대차잔고가 많거나 최근 증가한 종목들은 피해 받을것 같습니다. 이후에 미국의 금리 인하 기조에 따라 국내 증시 방향은 정해질것으로 보여집니다.
경제동향
2025년 3월 22일 작성 됨
Q.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은 미국 해방의 날이 될 것이라고 하는데 무엇을 의미하는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상호 관세를 부과를 확정하는 날입니다. 미국이 그동안 일부 국가에 유리하게 관세 면제나 적은 세금으로 부가 했다면 이를 상호적으로 동등하게 관세를 부과하는 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직 정확하게 어떻게 부가할지는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경제동향
2025년 3월 22일 작성 됨
Q.
월드컵 우승을 하는경우 경제효과는 어느정도일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월드컵 우승은 경제 효과와는 상관은 없습니다. 월드컵 개최하는게 경제적인 효과가 크기 떄문에 대부분 국가들이 서로 개최하고 싶어서 경쟁하는 겁니다.
경제정책
2025년 3월 22일 작성 됨
Q.
이번에 바뀐 국민연금은 무엇이 바뀐거고 언제부터 시행되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내년 1월 부터 시행입니다. 현재 연금 부담금이 9%에서 최대 13%로 매년 0.5%씩 오르게 됩니다. 말그대로 내년부터는 9.5% 세금을 낸다고 보시면 됩니다.(0.5% 인상) 바뀌는 점은 더 내고 더 받는다는 의미인데, 어차피 2060년 쯤이면 연금 고갈이 확정 예정이므로 현재 20대/30대 초반 젊은 세대들은 가장 큰 피해를 본다고 생각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3월 22일 작성 됨
Q.
이번에 삼성전자가 왜 오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삼성전자가 최근 의미있는 반등은 다 이유가 있습니다. AI 반도체로 불리는 HBM 떄문이 아니라 일반 스마트기기에 들어가는 일반 DRAM 반도체의 가격 반등 떄문입니다. 몇개월쨰 하락추세로 가던 일반 디램 가격이 크게 반등해서 이제 바닥 찍었다고 판단해서 입니다. 일반 디램은 하이닉스 보다 삼성전자가 더 우위입니다. 그래서 하이닉스 보다 크게 반등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