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주식에서 시가총액이 큰회사는 무조건 올라갈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시가총액이 큰 회사가 무조건 상승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시가총액이 크면 자금 조달이 쉽고, 기관•외국인 투자자 유입이 활발해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경기 변동이나 외부 충격에도 견디는 힘이 강해 주가 변동성이 작고, 유동성도 풍부해 거래가 원활합니다. 그래서 초보 투자나나 장기 투자자에게는 위험이 낮은 대형주 위주, 즉 시총 기준 투자가 권장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성장률은 소형주에 비해 낮을 수 있고, 무조건 상승을 보장하지는 않으니 기업의 실적과 시장 환경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Q. 장기투자를 하려고 하는데 ETF와 개별 주식의 장단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ETF는 분산투자로 위험이 낮고 관리가 쉬우며, 비용이 저렴하거 시장 평균 수익률을 추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개별 주식에 비해 수익률이 제한적이고, 특정 고성장 종목의 초과 수익을 놓칠 수 있습니다. 개별주식은 높은 수익과 배당 기대, 맞춤형 투자 전략이 가능하지만 변동성과 리스크가 크고, 지속적인 분석과 관리가 필요해 분산투자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투자 성향과 목표에 따라 두 방식을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Q. 가난한 기준은 무엇이라고 생각 하시나요?? 어쩔떄여??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가난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소득, 자산, 생활 수준이 사회 평균 이하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국제적으로는 1인당 하루 2달러 미만이 절대적 빈곤 수준이며, 국내에서는 중위소득 50% 미만이 상대적 빈곤 수준으로 대표적 기준입니다. 가난은 단순히 돈이 부족한 상태를 넘어, 교육•의료•주거 등 기본 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상황까지 포함되며, 사회•경제적 환경과 시대에 따라 그 기준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