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체권 용어의 의미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채권은 기업, 정부, 또는 기타 단체로부터 발행된 채무증권입니다. 기본적으로 채권은 채권자에게 채무자가 약속한 이자와 원금 상환을 받을 권리를 부여합니다.채권은 채무자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데, 이는 일종의 대출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부는 국채라는 형태의 채권을 발행하여 국내외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 회사채라는 형태의 채권을 발행하여 사업 확장이나 운영 자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채권은 일반적으로 발행 시 기한, 이자율, 원금 상환 조건 등의 사항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자는 일정한 기간마다 채권자에게 지급되며, 원금은 채권의 만기일에 상환됩니다. 이를 통해 채권은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이 선호합니다.
Q. 기업의 PBR이 낮다면 결국 저렴하다는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PBR이 낮다는 것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장부가치 대비 주가가 낮다는 뜻으로, 저평가되어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기업에 속해 있는 산업평균, 경쟁사와 비교를 해봐야합니다. 만약에 해당 산업이 전체적으로 낮다면, 이것은 앞으로 성장성을 기대하기 힘든 산업군일 확률이 높으며, 경쟁사대비 낮다면, 기술경쟁력이 떨어지는 등 이유가 있을 것 입니다.
Q. 디노미네이션은 지폐와 주화의 액면을 같은 비율로 낮추는건데, 어떤 상황에서 하는 조치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디노미네이션은 일반적으로 하이퍼인플레이션과 같은 심각한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실시됩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은 통화가 너무 빠르게 가치를 잃고 물가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제적 현상을 말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통화의 단위나 단계를 재조정하여 더 작은 단위로 나타내는 것이 디노미네이션입니다.디노미네이션의 목적은 통화의 가치를 회복하고 통화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많은 소비자와 기업에게 가격 변동과 금융 거래의 혼란을 초래하는 하이퍼인플레이션 상황에서 필요한 조치입니다.디노미네이션은 통화의 단위를 축소하거나 통화를 새로운 단위로 교체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줄이거나, 천 단위의 통화를 백 단위로 변경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디노미네이션은 복잡한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시적인 조치로 간주되며, 경제 안정화와 인플레이션 관리를 위한 종합적인 정책 조치와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러한 조치는 주로 정부와 중앙은행이 협력하여 시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