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불교 문학은 어떻게 현실의 고통과 이해를 탐구하고 있나요?
불교 문학은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우리 문학에 뿌리를 내려 왔습니다. 대표적으로 만해 한용운은 근대 불교시의 초석을 다진 인물 입니다. 은 과거시의 전통을 넘어서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고 할수 있는데 여기서 님의 부재는 시공의 초월 끝에서 만나는 절대 무(無)나 공(空)이거나 식민지 아래서나마 불국토의 실현을 역설적으로 노래한 것으로 이해 됩니다. 최남선은 시조집 에서 불타의 자비와 함께 만남, 이별이란 제재를 통해 번뇌와 인간고에 시달리는 인간의 초극의지를 전했으며 이광수는 「촛불」, 「무소구」 등의 시조에서 불교적 세계관, 운명관을 제시하였습니다.
Q. 토론 자료 어떻게 정리하면 좋을까요?
토론에 앞서 우선 논리 틀을 먼저 세워야 어떤 자료를 찾을지, 어떤 자료가 필요한지 기준을 정할 수 있고, 방대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주제가 나온 배경은 무엇이고 왜 지금 이 주제에 대해 토론해야 하는지, 청중을 설득하기 위해 무엇을 필수적으로 증명해야 하는지, 누구와 관련된 토론인지에 대해 생각해보면 토론의 큰 그림을 그리는 데 도움이 될 것 입니다. 토론 주제가 너무 생소하다고 느껴지거나, 주제와 관련하여 아무것도 떠오르지 않는다면 자료를 찾아봐도 좋습니다. 이때도 무턱대고 자료를 찾는 것이 아니라 20~30분 정도의 제한 시간을 두고 논제에 대한 기본 정보는 빠르게 훑고 검색창을 닫아야 한다는 점 입니다.
Q. 청천병력 사자성어와 관련있는 육우에 대해서
육우는 애국 시입니다. 북송(北宋)과 남송(南宋)의 교체기에 태어났으며, 남송 조정이 중원(中原) 지역을 금(金)에 내어주고 굴욕적인 화친책을 통해 겨우 명맥을 유지해 가던 시기에 일생토록 금에 대한 항전과 실지(失地)의 회복을 주장하며 살았던 시인이라고 합니다. 중국을 대표하는 최고의 우국시인(憂國詩人)으로 추앙받고 있다. 아울러 전후로 도합 일만 수에 달하는 시를 남기고 있어 중국 최다작가(最多作家)로서의 명성 또한 지니고 있는 그는 38세에 진사가 되어 기주 통판을 지냈고 만년에는 효종, 광종의 실록 및 《삼조사》를 완성하게 되고 저서로 《검남시고》, 《위남문집》, 《남당서》, 《입촉》등이 있다고 합니다.